[앵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새 정부가 출범하자마자 미국과 '관세 협상'이라는 큰 과제를 떠안게 됐습니다.
상호관세 유예 종료 시점이 한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해법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배진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는 7월 8일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따른 경제 위축 신호가 벌써 감지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미국과 관세 협상에서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강조해온 상황.
<이재명/대통령 당선인> "미국도 요구하는 게 많겠지만 그걸 반드시 100% 관철하겠다는 건 아닐 겁니다.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서둘러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당장 한미 각료급 협의가 이달 중순으로 예정된 상황이라, 본격적인 줄다리기가 시작될 예정입니다.
미국이 지적해온 각종 비관세 장벽 문제와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등 '패키지 딜' 논의는 더욱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가 잘하는 분야인 조선, 방산, 첨단산업 등은 한미 관세 협상을 위한 지렛대로 꼽힙니다.
<이재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경쟁국가와 최소한 동등한 수준 정도는 요구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고요. 만일 우리가 먼저 앞서 좀 혜택을 받는다면 단기적으로 조금 더 혜택을 볼 수 있지 않을까…"
이재명 당선인은 경제안보 '컨트롤타워' 구축으로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요국과 연대와 협력도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명/대통령 당선인> "대한민국 외교의 근간은 한미동맹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과 러시아와 관계를 도외시하면 안됩니다. 지금처럼 불필요하게 적대할 필요가 없겠다 생각합니다."
수출 정상화 없인 저성장 늪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만큼 새 정부의 관세 해법이 돌파구를 만들어 낼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편집 강태임]
[그래픽 문수진]
#트럼프 #관세 #상호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