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일단 한미 정상이 첫 전화 통화는 했지만,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트럼프 정부와 시한이 한 달가량 남은 관세 협상을 진행하는 동시에 한국 정부가 '친중' 기조 아니냐하는 미국의 경계심도 뛰어넘어야 합니다.
공다솜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첫 전화 통화에서 구체적인 청구서를 내밀진 않았습니다.
다만 관세 문제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까지도 트럼프 행정부는 알루미늄과 철강에 매겨지는 관세를 배로 올리는 등 압박의 수위를 높여왔습니다.
우리 정부는 관세 폐지와 세율 인하를 목표로 협상을 진행 중인데, 협상 시한인 다음 달 8일까지 미국을 설득하기 위해 내놓을 '7월 패키지'가 첫 번째 시험대가 될 전망입니다.
미국이 요구한 대로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고, 비관세 장벽을 없애는 방안 등이 담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 대통령이 후보 시절 관세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인만큼,
[지난 5월 18일 : 미국도 요구하는 게 많겠지만 그걸 반드시 100% 관철하겠다는 것은 아닐 겁니다. 우리가 맨 먼저 나서서 서둘러서 협상을 조기 타결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외교 라인 등을 재정비할 때까지 관세 유예 연장을 협상 카드로 내세울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편 워싱턴에선 이 대통령의 외교 노선에 대한 백악관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는 전임 주한 미 대사들의 조언도 잇따랐습니다.
[필립 골드버그/전 주한미국대사 : 중국과 관계를 어느 정도 회복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한미동맹, 한미일 협력을 지금처럼 유지하려는 이재명 대통령과 행정부의 외교정책은 커다란 도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리 해리스 전 주한미국 대사도 군사적 공세를 강화하는 중국과 대만 문제 등을 이재명 대외 정책 과제로 꼽으며, 이재명 정부의 대중 관계가 실용주의 외교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화면출처 유튜브 'KoreaEconomicInst']
[영상편집 이화영 / 영상자막 장재영]
공다솜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