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지난 3월 경기 포천시에서 훈련 중인 전투기가 주민들이 사는 지역에 폭탄을 떨어뜨리는 사고가 있었죠.
오늘이 사고 100일째인데요.
피해복구는 여전히 막막한 실정입니다.
현장 모습 어떤지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죠.
김선홍 기자
[ 기자 ]
네, 경기 포천시 노곡리에 나와 있습니다.
제가 지금 있는 곳은 100일 전 항공폭탄에 직격당한 주택 현관입니다.
지금 지붕을 보시면 이렇게 비닐로 얼기설기 마감을 해둔 상태인데요, 안으로 들어가보시면 상태는 더 심각합니다.
보시다시피 폭격 잔해들로 제대로 걷는 것도 힘든데요,
천장을 보시면 완전히 무너져내려서 거실이 어딘지, 주방이 어딘지 구분하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폭격 당시 집주인은 포천시 밖에 있었고, 부인은 별채에 있었던 덕에 다행히 부상을 피했지만 여전히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직접 들어보시죠.
<정명안 / 경기 포천시 이동면> "(집사람은) 정신과 치료하고 밤되면 잠 못자고 후유증이 많죠. 지금 사는 게 사는 것 같지 않아요. 장마 오기 전에 (복구를) 시작해야 될 판인데, 아무런 얘기도 없다 보니 힘이 드는 거지."
방금 보신 주택 건너편에 있는 군 성당도 여전히 파손된 채로 방치돼있었는데요,
지붕 곳곳이 무너져내리고 외벽도 찌그러진 상태였습니다.
주민들은 전투기 오폭 사고 발생 100일이 지나도록 피해복구와 보상 논의는 지지부진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폭격에 직접 피해를 입은 노곡2리 주민들은 현재 포천시와 경기도로부터 각각 100만원씩 지원을 받았고, 공군으로부터 생활지원금으로 700여 만원을 신청해서 받을 예정인데요.
실제 피해 규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게 주민들의 입장입니다.
또 직간접적인 피해를 입었음에도 지원대상 지역에 들어가지 않아 이마저도 받지 못하게된 주민들도 있습니다.
군 사격장 인근에 사는 이 지역 주민들은 이번 오폭 사고로 불안감이 극에 달했는데도 피해보상마저 미비하자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분위기입니다.
군사훈련영향지역 주민을 보호하고 피해 보상 근거를 마련하는 특별법이 국회에서 발의됐지만 아직구체적인 논의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경기 포천시 오폭사고 현장에서 연합뉴스TV 김선홍입니다.
[현장연결 함정태]
[영상편집 박상규]
#포천 #오폭사고 #피해복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선홍(red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