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는 최근 강남권을 중심으로 한 집값 급등세에 제동을 걸기 위해 초고강도 대출 규제책을 내놓았는데요.
정부가 내밀 두 번째 부동산 대책 카드는 공공성에 기반을 둔 주택 공급 확대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다미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성동구의 청년 주택 공사 현장입니다.
건설 기계는 멈췄고, 오가는 사람도 없습니다.
시공사가 자금난에 직면하면서 1년 넘게 공사가 중단된 상태입니다.
<김영찬/ 공사현장 인근 건물 관리소장> "여기 하청업체가 한 군데는 100여 명, 한 군데는 한 50여 명 있었는데, 그 두 군데가 (공사 중단 이후) 다 나가가지고 지금 비어 있어요. 그래서 지금 경기가 말도 아니죠."
최근 주택 공급의 3대 지표인 인허가와 착공, 준공이 모두 감소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주택 공급 우려는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정부는 이런 상황을 고려해 조만간 주택 공급 확대 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실수요자에게 저렴한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1인 가구와 청년 등 세대와 계층별 주거사다리를 복원하는데 집중한다는 방침입니다.
<이상경/신임 국토교통부 1차관> "주거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확대, 청년과 신혼부부 등 무주택자들을 위한 부담 가능한 주택의 공급, 주거 복지 차원의 공공임대주택 공급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합니다."
한편, 금융당국은 최근 발표한 고강도 부동산 대출 규제와 관련해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 등의 심사가 제대로 이뤄지는지 현장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막힌 대출 수요가 2금융권 등으로 이동하는 '풍선 효과'가 발생하는지 여부도 살필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
[영상취재 정우현]
[영상편집 박은준]
[그래픽 윤정인]
#부동산 #집값 #청년주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