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키워드] 스티븐 비건과 최선희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가 2박 3일간의 방한 일정을 마치고 출국했습니다.
비건 부장관은 이번 방한에서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을 이례적으로 비판하고 나섰습니다.
오늘의 한반도 키워드, 입니다.
비건 부장관은 지난 8일,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만난 뒤, 주한미국대사관이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최선희 제1부상을 공개 비판했습니다.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함께 언급하며 "둘 다 낡은 사고방식에 사로잡혀 있다", "부정적인 것과 불가능한 것에만 집중한다"고 밝혔는데요.
비건 부장관은 또 작심한 듯 "확실히 말하고 싶다"면서, 북한에 만날 것을 요청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최근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방한에 북한이 미국과 마주 앉을 생각이 없다고 하는데 우리는 북한과의 만남을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이번 방한은 우리의 가까운 친구와 동맹을 만나기 위해서 온 것입니다. "
앞서 비건 부장관 방한에 앞서, 최 부상은 담화를 통해 "미국과 마주앉을 필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최 부상의 발언에 대해 비건 부장관이 공개적으로 받아친 셈입니다.
비건 부장관과 최 부상의 만남은 2019년 1월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2차 북미 정상회담 한 달여 앞두고 스웨덴에서 실무회의가 진행됐는데 카운터파트, 즉 협상상대로 처음 마주하게 된 겁니다.
하지만 북미 신경전이 팽팽하게 이어지고 하노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되는 과정에서, 비건 부장관의 카운터파트는 최 부상에서 김혁절 국무위원회 대미특별대표로, 또 김명길 외무성 순회대사로 두 번이나 바뀌었습니다.
그러다 2019년 10월 스웨덴 실무협상마저 결렬됐습니다.
그 과정에서 최 부상은 김정은 위원장의 '입'을 대신하며 존재감을 키웠는데요.
"우리 국무위원장 동지께서 미국에서 하는 미국식 계산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힘들어하시지 않는가…"
비건 부장관은 자신의 카운터파트로 다시 최선희 제1부상을 지목하며 북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