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파업 15일째 '물류 회복세' 이어져…건설노조는 동조 파업

2022.12.08 방영 조회수 0
정보 더보기
정부,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입장 발표 (서울=연합뉴스) 김승두 기자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 관련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날 브리핑에는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이 참석했다. 2022.12.8 kimsdoo@yna.co.kr (전국종합=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총파업 15일째인 8일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추가 발동에 노동계는 건설노조 등의 동조 파업으로 맞서는 가운데 물류 회복세가 이어졌다. 정부는 이날 철강·석유화학 업종 운송거부자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이날 발동했다. 지난달 29일 시멘트 분야 첫 업무개시명령 이후 9일 만에 업무개시명령을 확대했다. 노동계는 부산울산경남(부울경) 건설노조 동조 파업으로 맞대응했다. 정부와 노동계 대치에도 물류 개선 흐름은 이어졌다. ◇ 인천항·광양항 물류 회복…제주도에는 항만 통해 시멘트 반입 광양항 물류 숨통 (광양=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화물연대 파업 13일째인 지난 6일 전남 광양항에 화물 차량들이 오가고 있다. 입구를 가로막고 있던 화물차가 치워져 있고 차량들이 화물을 반출입하기 위해 드나들고 있다. 주요 수출항 물류는 빠르게 정상화하고 있다. 인천항 화물 반출입량은 파업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이날 오전 10시 집계한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하루 화물 반출입량은 1만6천349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파업 전인 지난 10월 하루 평균 1만3천229TEU보다 많았다.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의 포화 정도를 의미하는 장치율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78.6%로 지난 10월 평균 76.3%와 큰 차이가 없다. 전남 광양항 또한 평상 수준으로 물류량이 복귀했다. 전날 오후 3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광양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4천14TEU이다. 파업 이전 같은 시간대 평시 반출입량 3천400TEU를 넘었다. 광양항 장치율(컨테이너를 쌓아 보관할 수 있는 능력)은 이날 오전 기준 67.3%로, 평상시(60∼65%)보다 조금 높다. 반입되는 화물이 크게 늘어 장치율이 다소 높다고 항만 당국은 밝혔다. 평택·당진항 물동량 역시 평소 80% 수준을 회복했다. 전날 오전 10시부터 이날 오전 10시까지 평택·당진항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2천490TEU이다. 화물연대 총파업 전인 10월 하루 평균 반출입량(3천10TEU)의 81.9%이다. 파업 초기 물동량이 평시의 5% 수준에 머무르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났다. 현재 평택항 주변에서는 운송방해 행위 등 불법 행위가 없어 화물차량 항 출입이 원활하다. 제주도에는 화물연대 총파업 돌입 후 처음으로 항만을 통해 시멘트가 들어왔다. 이날 오전 6시께 제주시 애월항에 시멘트 2천t이 반입됐다. 화물연대 총파업 이후 제주에 시멘트가 반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도권 물류 거점인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 물동량도 회복 추세다. 지난 7일 의왕ICD 화물차량 반·출입 건수는 2천318건으로 올해 10월까지 하루 평균 건수(4천336건)의 53.5% 수준이다. 같은 날 컨테이너 반출입량 역시 파업 전 수요일 평균 4천402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의 33%인 1천451TEU를 기록했다. 파업 초기 반출입량이 평시 대비 10∼20% 수준에 머무르던 것과 대비된다. 철도 수송은 10대가 예정돼 평시 13대의 77% 수준까지 회복했다. ◇ 철강은 제품 출하 숨통·시멘트 출하는 다소 주춤 운행하는 화물차 (포항=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 화물연대 파업이 이어지는 지난 5일 경북 포항시의 한 도로에서 한 화물연대 소속 화물차가 철강 제품을 싣고 달리고 있다. 경북 포항시 포항철강산업단지에서는 비조합원을 중심으로 제품 출하가 재개돼 숨통이 트였다.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7일에 이어 8일에도 제품을 출하했다. 포항제철소는 화물연대 파업 이후에 대부분 제품을 출하하지 못했으나 지난 7일부터 비조합원 차를 통해 제품을 내보내고 있다. 현대제철 포항공장, 동국제강, 세아제강도 제품을 출하하고 있다. 다만, 완전한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아 많은 기업은 여전히 물류에 차질을 빚고 있다. 그동안 포항철강산단 기업들은 긴급 물량을 제외하면 대부분 제품을 공장 주변에 쌓아뒀다. 강원도 레미콘·시멘트 공장 가동률은 다소 주춤한 상태다. 이날 시멘트 출하량은 전날보다 1만876t 감소한 5만6천641t으로 평상시(7만5천400t) 84% 수준이다. 강원도 레미콘 공장 132곳 중 총 13곳도 추가로 가동을 멈춰 34곳이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 삼표시멘트 인천사업소 시멘트 출하량은 지난달 29일 정부의 업무개시명령 이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파업 이후인 지난달 24∼28일에는 전무했던 이곳의 시멘트 출하는 29일부터 재개됐고, 전날에는 8천560t을 기록했다. 이는 파업 전 하루 평균 출하량 1만t의 85%에 해당하는 수치다. ◇ 건설노조, 화물연대 파업 동참…부울경 공사 현장 일부 중지 부울경 레미콘·콘크리트 펌프차 기사도 파업 동참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이 2주째 계속되고 있는 8일 오전 서울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이 멈춰 서 있다. 이날 부산·울산·경남 지역 민주노총 건설노조 소속 레미콘 기사와 콘크리트 펌프카 기사들이 화물연대 파업을 지지하며 동조 파업에 들어갔다. 2022.12.8 yatoya@yna.co.kr 부울경 민주노총 건설노조 소속 레미콘 기사와 콘크리트 펌프카 기사들이 8일 화물연대 파업을 지지하는 동조 파업에 들어갔다. 민주노총 건설노조 부산울산경남지부 레미콘 지회, 콘크리트펌프카 지회가 파업에 돌입했다. 지난 5일 건설노조 타설 분회가 동조 파업을 시작한 데 이어 파업 참여 지회가 확대됐다. 부울경은 민주노총 건설노조 가입 비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다. 지역 레미콘·타설·펌프카 기사 95%가량이 민노총 건설노조에 가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시에 따르면 335개 공사 현장 중 24곳의 작업이 완전히 중단됐고, 68곳은 일부 작업이 중단된 상태다. 건설노조 산하 경남건설기계지부, 경남건설지부 조합원들도 연대파업에 합류했다. 경남건설기계지부 조합원은 레미콘·펌프카·크레인·지게차 등을 중심으로 2천500여명, 경남건설지부 조합원은 타설·철근 작업 중심으로 1천여명 정도다. 건설노조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레미콘과 타설하는 펌프카 중심으로 경남건설기계지부 조합원 1천여명, 건설지부 조합원은 대부분 조합원이 연대파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타워크레인지부, 전기지부는 동조 파업에 참여하지 않았다. 경남도는 건설기계지부, 건설지부 파업으로 경남권 아파트 건설 현장, 정부·지자체 발주 현장 중심으로 콘크리트 타설 등 주요 작업이 멈추거나 지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정훈 강영훈 김소연 백나용 천정인 홍현기 손대성 김용태 나보배 김재홍 강태현 기자) seam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연합뉴스 20221208 57

  • 시진핑, 사우디 도착… 01:58
    시진핑, 사우디 도착…"아랍 세계에 대한 최대 규모 외교 활동"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보] 푸틴 02:09
    [2보] 푸틴 "핵무기는 방어·반격수단…모든 수단으로 영토 방어"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본토 피격' 푸틴 또다시 핵위협… 02:41
    '본토 피격' 푸틴 또다시 핵위협…"핵무기는 방어·반격 수단"(종합)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美 02:09
    美 "전쟁 확대 우려…어디에 무기 사용할지는 우크라 주권사항"
    조회수 18
    본문 링크 이동
  • '세번째 탄핵 위기' 페루 대통령 결국 탄핵안 가결…정국 대격랑 02:44
    '세번째 탄핵 위기' 페루 대통령 결국 탄핵안 가결…정국 대격랑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기다리던 '아바타2'·'영웅' 온다… 극장가, 모처럼 들썩 01:40
    기다리던 '아바타2'·'영웅' 온다… 극장가, 모처럼 들썩
    조회수 6
    본문 링크 이동
  • [포켓이슈] 30년 된 수능, 바꿔야 할까? 02:19
    [포켓이슈] 30년 된 수능, 바꿔야 할까?
    조회수 6
    본문 링크 이동
  • 美, 푸틴 또 핵위협에 02:41
    美, 푸틴 또 핵위협에 "절제 안된 핵무기 관련 발언은 무책임"
    조회수 9
    본문 링크 이동
  • 시골 교사 출신 좌파 페루 대통령, 16개월 만에 탄핵 '불명예' 02:44
    시골 교사 출신 좌파 페루 대통령, 16개월 만에 탄핵 '불명예'
    조회수 74
    본문 링크 이동
  • 01:40
    "시각적 걸작"…13년 만에 돌아온 '아바타2' 시사회 호평
    조회수 11
    본문 링크 이동
  • '세번째 탄핵소추' 페루 대통령 결국 탄핵…첫 여성대통령 탄생(종합) 02:44
    '세번째 탄핵소추' 페루 대통령 결국 탄핵…첫 여성대통령 탄생(종합)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경남 건설노조, 화물연대 동조 파업…펌프카·레미콘 참여 02:53
    경남 건설노조, 화물연대 동조 파업…펌프카·레미콘 참여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보]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 발동…한총리 02:53
    [2보]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 발동…한총리 "경제 위기 우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한총리 02:53
    철강·석유화학 업무개시명령…한총리 "불법과 타협없다"(종합)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사우디, 시진핑에 특별 의전…전용기 들어오자 전투기 4대 호위 01:58
    사우디, 시진핑에 특별 의전…전용기 들어오자 전투기 4대 호위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01:50
    "우크라행 미 국방부 무기발주 큰폭 증가…총액 4조5천억원"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정부, 철강·석유화학 1만여명 대상 업무개시명령 즉시 집행 01:37
    정부, 철강·석유화학 1만여명 대상 업무개시명령 즉시 집행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키이우 시장 02:41
    키이우 시장 "러 폭격 계속되면 올겨울에 '종말론적 재앙'"
    조회수 7
    본문 링크 이동
  • 추경호 02:53
    추경호 "화물연대 운송거부로 경제 심각한 위기…출하차질 2.6조"
    조회수 7
    본문 링크 이동
  • [월드컵] 강도 들었다며 떠난 스털링, 프랑스전 출전 여부는 '물음표' 02:15
    [월드컵] 강도 들었다며 떠난 스털링, 프랑스전 출전 여부는 '물음표'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02:43
    "중국인 90% 코로나 걸릴 것"…중국, 감염 폭증 대책 있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독일 쿠데타 모의한 '미치광이들'…자체 화폐 찍고 집단 생활 01:58
    독일 쿠데타 모의한 '미치광이들'…자체 화폐 찍고 집단 생활
    조회수 28
    본문 링크 이동
  • 정부, 철강·석유화학 1만여명에 업무개시명령 즉시 집행(종합) 02:53
    정부, 철강·석유화학 1만여명에 업무개시명령 즉시 집행(종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푸틴 핵위협 되풀이…허세인가 실제위험인가 불안한 시선 03:21
    푸틴 핵위협 되풀이…허세인가 실제위험인가 불안한 시선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강원경찰 '업무개시명령불응' 시멘트 화물차주 수사… 01:37
    강원경찰 '업무개시명령불응' 시멘트 화물차주 수사…"엄정처리"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한기총 01:29
    [영상] 한기총 "전광훈 이단, 제명" 결의…15일 최종 결정
    조회수 39
    본문 링크 이동
  • 정부, '철강·석유화학' 업무명령…즉각 집행 '초강경 복귀압박'(종합2보) 02:53
    정부, '철강·석유화학' 업무명령…즉각 집행 '초강경 복귀압박'(종합2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삼세번? 페루 대통령 탄핵안 결국 가결…정국 대격랑 02:44
    [영상] 삼세번? 페루 대통령 탄핵안 결국 가결…정국 대격랑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한총리 02:53
    한총리 "내년 경제 녹록지 않을 것…기재부·KDI, 대응책 마련"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독일서 쿠데타 음모, 의회 무장공격?…러시아가 펄쩍 뛴 이유 01:58
    [영상] 독일서 쿠데타 음모, 의회 무장공격?…러시아가 펄쩍 뛴 이유
    조회수 38
    본문 링크 이동
  • 화물파업 15일째 '물류 회복세' 이어져…건설노조는 동조 파업 02:53
    화물파업 15일째 '물류 회복세' 이어져…건설노조는 동조 파업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아바타 2' 예매율 50% 돌파…흥행 돌풍 일으킬까 01:40
    '아바타 2' 예매율 50% 돌파…흥행 돌풍 일으킬까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시진핑 환대하는 빈살만… 01:58
    시진핑 환대하는 빈살만…"미국·사우디 '일부일처 시대' 종식"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본토 피격'에 푸틴 또 핵위협…우크라전 확산 우려 02:41
    [영상] '본토 피격'에 푸틴 또 핵위협…우크라전 확산 우려
    조회수 22
    본문 링크 이동
  • '더 높이, 더 멀리'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 도전은 계속 된다 01:57
    '더 높이, 더 멀리' 화성 헬기 '인저뉴어티' 도전은 계속 된다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이탈리아서 축배들던 모로코인들 피격…극우청년 13명 체포 02:38
    [영상] 이탈리아서 축배들던 모로코인들 피격…극우청년 13명 체포
    조회수 35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개봉 D-6 '아바타 2' 예매율 50% 돌파…흥행돌풍 예감? 01:40
    [영상] 개봉 D-6 '아바타 2' 예매율 50% 돌파…흥행돌풍 예감?
    조회수 5
    본문 링크 이동
  • 사우디·중국 밀착에 미 01:58
    사우디·중국 밀착에 미 "바이든, 기분 안 나빠" 애써 태연
    조회수 8
    본문 링크 이동
  • '보닛이 따뜻하다냥'…운전 전 '똑똑' 두드려 고양이 확인해야 02:19
    '보닛이 따뜻하다냥'…운전 전 '똑똑' 두드려 고양이 확인해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우크라, 러 본토 타격 비결…무인정찰기→순항미사일 개조 01:32
    우크라, 러 본토 타격 비결…무인정찰기→순항미사일 개조
    조회수 11
    본문 링크 이동
  • 정부 02:53
    정부 "화물연대 복귀해야 안전운임제 연장 논의할 것"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월드컵] 조규성, 몸값 폭등 11인 포함… 02:23
    [월드컵] 조규성, 몸값 폭등 11인 포함…"손흥민 스포트라이트 훔쳤다"
    조회수 8
    본문 링크 이동
  • 타임지 '올해의 영웅'에 반정부시위 나선 이란여성들 01:58
    타임지 '올해의 영웅'에 반정부시위 나선 이란여성들
    조회수 10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철강·석유화학도 업무복귀명령…즉각 집행 '압박' 02:53
    [영상] 철강·석유화학도 업무복귀명령…즉각 집행 '압박'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전투기 띄워 호위…'바이든 홀대' 사우디, 시진핑엔 파격 의전 01:58
    [영상] 전투기 띄워 호위…'바이든 홀대' 사우디, 시진핑엔 파격 의전
    조회수 14
    본문 링크 이동
  • 우크라 재외공관 31곳에 협박성 소포…발신자 주소엔 '독일' 02:02
    우크라 재외공관 31곳에 협박성 소포…발신자 주소엔 '독일'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02:15
    [영상] "집에 강도 들었다"며 귀국…스털링, 8강전 출전하나?
    조회수 18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우크라 무기 지원 또 늘렸다…미 국방부 4조5천억원어치 발주 01:50
    [영상] 우크라 무기 지원 또 늘렸다…미 국방부 4조5천억원어치 발주
    조회수 25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푸틴 '핵위협' 되풀이…허세인가 실제 위험인가 '불안한 시선' 03:21
    [영상] 푸틴 '핵위협' 되풀이…허세인가 실제 위험인가 '불안한 시선'
    조회수 7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01:50
    [영상] "우와~" 탄성이 절로…'오리온'이 포착한 놀라운 달의 뒷면
    조회수 52
    본문 링크 이동
  • 업무개시명령에 '물류 회복세' 이어져…노동계는 동조파업 맞서(종합) 02:53
    업무개시명령에 '물류 회복세' 이어져…노동계는 동조파업 맞서(종합)
    조회수 5
    본문 링크 이동
  • 美첨단무기 대거 사는 대만…'레이더 사냥꾼' 미사일 도입 02:21
    美첨단무기 대거 사는 대만…'레이더 사냥꾼' 미사일 도입
    조회수 4
    본문 링크 이동
  • 시진핑 01:58
    시진핑 "일대일로와 사우디 '비전 2030' 연계 강화"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사우디 03:22
    사우디 "시진핑 방문, 中과 협력강화하려는 아랍 의지 반영"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러 수감 美농구스타 그라이너 석방…美 구금 러 무기상과 맞바꿔 02:15
    러 수감 美농구스타 그라이너 석방…美 구금 러 무기상과 맞바꿔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전투기 의전' 이어 왕궁서 사열…빈살만, 시진핑 성대히 환영 03:22
    '전투기 의전' 이어 왕궁서 사열…빈살만, 시진핑 성대히 환영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中 03:22
    中 "사우디와 2년 주기 셔틀 정상회담 개최 합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 [자막뉴스] 위기의 전남 섬...한국 기술로 만든 세계 최초 선박이 간다 02:14
    [자막뉴스] 위기의 전남 섬...한국 기술로 만든 세계 최초 선박이 간다
    조회수 7
    본문 링크 이동
  • 2 미시시피주 강타한 토네이도…23명 사망·대규모 정전 00:31
    미시시피주 강타한 토네이도…23명 사망·대규모 정전
    조회수 9
    본문 링크 이동
  • 3 사면·복권 후 기지개 켜는 MB·朴...정치권 파장 주목 02:47
    사면·복권 후 기지개 켜는 MB·朴...정치권 파장 주목
    조회수 4
    본문 링크 이동
  • 4 03:35
    "떡볶이가 미국 장악했다"...영역 넓혀가는 '한류 음식' 인기
    조회수 10
    본문 링크 이동
  • 5 [날씨] 오후부터 찬 바람 미세먼지 사라져, 동해안 비 00:45
    [날씨] 오후부터 찬 바람 미세먼지 사라져, 동해안 비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6 국회 통과 앞둔 TK 신공항 특별법...정부 지원 업고 날아오를까 02:14
    국회 통과 앞둔 TK 신공항 특별법...정부 지원 업고 날아오를까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7 레고랜드 시설 개선 후 재개장...과제는 여전 02:18
    레고랜드 시설 개선 후 재개장...과제는 여전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8 변화무쌍 산악 날씨...등산 전 '산악기상' 확인하세요 02:23
    변화무쌍 산악 날씨...등산 전 '산악기상' 확인하세요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9 '과로 장려' 노동부·'파괴 승인' 환경부?...비판 커져 02:49
    '과로 장려' 노동부·'파괴 승인' 환경부?...비판 커져
    조회수 5
    본문 링크 이동
  • 10 치솟는 물가 부담에...'맥주·막걸리' 세금 손본다 02:00
    치솟는 물가 부담에...'맥주·막걸리' 세금 손본다
    조회수 4
    본문 링크 이동
  • 11 피겨 차준환, 세계선수권 은메달 쾌거...한국 남자 선수 최초 입상 00:30
    피겨 차준환, 세계선수권 은메달 쾌거...한국 남자 선수 최초 입상
    조회수 4
    본문 링크 이동
  • 12 기후위기에 경영난...'폐업 스키장' 흉물로 방치 02:10
    기후위기에 경영난...'폐업 스키장' 흉물로 방치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13 '새하얀 꽃망울' 미선나무...우리나라에서만 자생 02:00
    '새하얀 꽃망울' 미선나무...우리나라에서만 자생
    조회수 7
    본문 링크 이동
  • 14 北, ICBM·핵어뢰 대대적 내부 선전...긴장감 조성 02:11
    北, ICBM·핵어뢰 대대적 내부 선전...긴장감 조성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15 싸늘한 여론...선거제 개혁, '300명' 벽에 막힐까 02:57
    싸늘한 여론...선거제 개혁, '300명' 벽에 막힐까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16 '검수원복' 2차전... 02:28
    '검수원복' 2차전..."한동훈 사퇴" vs "탈우주급 뻔뻔"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17 통 큰 결단? 빈손 외교?... 02:18
    통 큰 결단? 빈손 외교?..."한미회담·日 답방 관건"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18 이재명 00:29
    이재명 "尹, 日에 퍼주기만...독도 발언에 항변했나"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19 01:56
    "김정은 총비서 새벽 5시까지 일한다"…과잉 선전 이유는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0 중국, 내일부터 항공기 운항 확대‥인천·김포·부산 노선 순차 재개 00:29
    중국, 내일부터 항공기 운항 확대‥인천·김포·부산 노선 순차 재개
    조회수 9
    본문 링크 이동
  • 21 조작 사진까지 번진 갈등…다음 주 '인적쇄신' 01:51
    조작 사진까지 번진 갈등…다음 주 '인적쇄신'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22 [오현주 앵커의 생각] 좌우 논리를 떠나서… 01:28
    [오현주 앵커의 생각] 좌우 논리를 떠나서…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3 F-35A 공대지사격·사드 동원…강도 높인 한미 대응훈련 01:39
    F-35A 공대지사격·사드 동원…강도 높인 한미 대응훈련
    조회수 5
    본문 링크 이동
  • 24 [한반도 브리핑] 공중폭발 이어 핵어뢰까지…북한, 한미연습 반발 잇단 핵위협 14:09
    [한반도 브리핑] 공중폭발 이어 핵어뢰까지…북한, 한미연습 반발 잇단 핵위협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25 싸늘한 여론...선거제 개혁, '300명' 벽에 막힐까 02:58
    싸늘한 여론...선거제 개혁, '300명' 벽에 막힐까
    조회수 4
    본문 링크 이동
  • 26 테라 '20% 수익보장'에 투자금 50배 급증…美회계사도 속았다(종합) 02:26
    테라 '20% 수익보장'에 투자금 50배 급증…美회계사도 속았다(종합)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27 [비머pick] 01:26
    [비머pick] "한두 잔은 몸에 좋은 거 아냐?" 몰랐던 소주의 배신
    조회수 27
    본문 링크 이동
  • 28 권도형 송환 韓·美·몬테네그로 어딜까… 02:52
    권도형 송환 韓·美·몬테네그로 어딜까…"첫 기소 국가 우선권"
    조회수 36
    본문 링크 이동
  • 29 [실시간 e뉴스] 01:05
    [실시간 e뉴스] "사랑한 후배 그리워서" 유난희, 숨진 개그우먼 발언 사과
    조회수 41
    본문 링크 이동
  • 30 [자막뉴스] 01:38
    [자막뉴스] "테슬라처럼 헤드뱅잉 하게 만드는 가속은..." 한국 찾은 롤스로이스 CEO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맨 위로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