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 인터뷰] "최저 연 3%대도 가능"…특례보금자리론 괜찮나?

2023.01.30 방영 조회수 0
정보 더보기
[출근길 인터뷰] "최저 연 3%대도 가능"…특례보금자리론 괜찮나? [앵커] 집값은 아직도 바닥이 아니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계속 오르고. 여전히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은 그림의 떡입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최저 연 3%대 금리의 특례보금자리론을 출시했는데요. 괜찮은 건지, 출근길 인터뷰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뉴스 캐스터 연결합니다. 박서휘 캐스터. [캐스터] 월요일 출근길 인터뷰는 한국주택금융공사의 한윤식 상임이사를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네, 안녕하십니까. [캐스터] 특례보금자리론 이게 주택담보대출과 보금자리론과는 어떤 점이 달라진 건가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특례보금자리론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시중은행의 변동 혼합 금리의 주택담보대출과 다른 점은 대출 시점의 금리가 만기 시까지 고정된다는 점입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기존의 보금자리론과 안심전환대출, 적격대출을 통합한 상품으로 최장 50년 동안 금리상승 없이 안정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정부는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비용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기존의 보금자리론 대출 요건을 크게 완화하였습니다. 주택 가격 기준은 6억 원에서 9억 원으로 확대하였고 소득 제한을 없앴습니다. 또한 대출 한도는 3억 6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늘렸습니다. [캐스터] 특례보금자리론의 이용 조건이 있을까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특례보금자리론의 이용 조건은 신규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기존의 주택담보대출을 상환하는 경우와 전세 보증금 반환 용도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출 만기는 10년에서 50년까지 선택 가능하고 40년과 50년은 상환능력이 적은 청년과 신혼부부 등에 적합한 상품입니다. 가장 중요한 대출금리는 만기별로 4.15에서 4.55%까지 적용하며 신혼가구 등은 우대금리 적용 시 3%대 대출 이용이 가능합니다. 상환 방식은 원금 균등, 원리금 균등, 체증식 상환 중 선택 가능하며 초기 상환에 적은 체증식은 만 39세 이하만 이용 가능합니다. [캐스터] 금리인상이 마무리되고 주택담보대출의 금리가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보다 내려간다면 혹시 중간에 갈아탈 수 있는 건가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기존에 주택담보대출에서 특례보금자리론으로 갈아타는 경우나 특례보금자리론 이용 도중에 금리 하락 시 낮은 금리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모두 중도상환수수료는 면제됩니다. 지금까지 고정금리 상품을 선택하지 못한 분들이 계신다면 오늘부터 신청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 이용을 적극 권장드립니다. [캐스터] 주택 가격 9억 이하만 대출이 가능한데요. 8억 8000만 원 급매가 나왔는데 시세가 9억이 웃돌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특례보금자리론은 시세와 매매가격 모두 9억 원 이하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매매가격이 9억 원 정도이면 대출 신청 시 미리 KB 시세 등을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로 주택 가격 평가 시 아파트는 KB 시세, 한국부동산원 시세, 주택공시가격 감정평가액 순으로 적용됩니다. [캐스터]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이 굉장히 많을 것 같은데요. 어디에 문의하면 되고 또 어떻게 신청하면 될까요. [한윤식 / 한국주택금융공사 상임이사]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와 스마트 주택금융 앱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공사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와 콜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캐스터] 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주택담보대출 #중도상환수수료 #한국주택금융공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09 20230130 1

  • [출근길 인터뷰] 04:15
    [출근길 인터뷰] "최저 연 3%대도 가능"…특례보금자리론 괜찮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 내일 '일상 회복 계획' 발표…격리기간 축소도 검토 01:49
    내일 '일상 회복 계획' 발표…격리기간 축소도 검토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 건전재정 '방점'…지역상품권 등 현금성 지원 줄인다 02:01
    건전재정 '방점'…지역상품권 등 현금성 지원 줄인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 미국 금융 리스크 안도감‥코스피, 코스닥 지수 나란히 상승세 기록 01:36
    미국 금융 리스크 안도감‥코스피, 코스닥 지수 나란히 상승세 기록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4 금감원, 미등록·법규 위반 대부업체 59곳 적발 00:40
    금감원, 미등록·법규 위반 대부업체 59곳 적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5 소액생계비대출 신청 폭주...자금난 해소엔 '역부족' 02:24
    소액생계비대출 신청 폭주...자금난 해소엔 '역부족'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6 美 IRA 세부 규정 곧 발표… 02:01
    美 IRA 세부 규정 곧 발표…"K배터리 수혜 기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7 한국 최대 무역 흑자국이던 중국, 이젠 최대 적자국 00:41
    한국 최대 무역 흑자국이던 중국, 이젠 최대 적자국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8 02:35
    "내년 예산 건전재정 기조...현금성 사업 철저 차단"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9 [뉴스외전 경제 '쏙'] 16:24
    [뉴스외전 경제 '쏙'] "죄다 올랐다" 서민 경제 한숨‥소액생계비대출 신청 폭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0 [이슈+] 코로나19로 찬바람 불던 '명동 상권'…봄바람 불어올까? 07:12
    [이슈+] 코로나19로 찬바람 불던 '명동 상권'…봄바람 불어올까?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1 돌아온 명동 상권…1년 전 외국인 관광객 수보다 5배 급증 04:48
    돌아온 명동 상권…1년 전 외국인 관광객 수보다 5배 급증
    조회수 5
    본문 링크 이동
  • 12 중국, 최대 흑자국 → 최대 적자국 01:46
    중국, 최대 흑자국 → 최대 적자국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3 [경제읽기] 최대 흑자국서 최대 적자국으로…대중 무역적자 고착화? 17:29
    [경제읽기] 최대 흑자국서 최대 적자국으로…대중 무역적자 고착화?
    조회수 2
    본문 링크 이동
  • 14 [비머pick] 01:19
    [비머pick] "잘 가, 그동안 즐거웠어"…'치킨 3만원 시대'에 커지는 원성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15 02:22
    "모처럼 활기" 유통업체 온·오프라인 매출 증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6 작년 건보 지출 증가율 9.6%…코로나 이후 최대 00:44
    작년 건보 지출 증가율 9.6%…코로나 이후 최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7 아파텔 DSR 상환기간 8년 족쇄 푼다…개선책 마련 02:09
    아파텔 DSR 상환기간 8년 족쇄 푼다…개선책 마련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8 15.9% 이자에도 줄선 서민들…달갑지 않은 흥행 02:09
    15.9% 이자에도 줄선 서민들…달갑지 않은 흥행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9 외국인 매출 30배도…북적이는 손님에 되살아난 명동 02:25
    외국인 매출 30배도…북적이는 손님에 되살아난 명동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0 수출 물량 반등했지만...교역조건 23개월째 악화 01:48
    수출 물량 반등했지만...교역조건 23개월째 악화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1 은행 등 금융회사들, 점포 740개 · 임직원 1500명 줄었다 01:55
    은행 등 금융회사들, 점포 740개 · 임직원 1500명 줄었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2 1만 명대 신규 확진…8일 연속 전주 대비 증가 01:50
    1만 명대 신규 확진…8일 연속 전주 대비 증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3 코스피, 3거래일 만에 상승 움직임 01:19
    코스피, 3거래일 만에 상승 움직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4 내년 예산 670조 안팎 전망…윤 대통령 02:03
    내년 예산 670조 안팎 전망…윤 대통령 "건전재정 기조 견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5 중국, 최대 흑자국 → 최대 적자국 01:47
    중국, 최대 흑자국 → 최대 적자국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6 내년 예산 670조 원 안팎 전망...건전재정 기조 유지 00:34
    내년 예산 670조 원 안팎 전망...건전재정 기조 유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7 최태원 01:27
    최태원 "노소영, 사실관계 악의적 왜곡해 인신공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8 금융사들, 점포 740개·임직원 1,500명 줄여 00:43
    금융사들, 점포 740개·임직원 1,500명 줄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9 개인·기관 매수세에 상승 흐름‥ SK디앤디 18% 넘게 급등 01:19
    개인·기관 매수세에 상승 흐름‥ SK디앤디 18% 넘게 급등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0 [친절한 경제] '은행 파산'까지 8개월에서 단 이틀…그 중심엔 SNS가 있다! 05:08
    [친절한 경제] '은행 파산'까지 8개월에서 단 이틀…그 중심엔 SNS가 있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맨 위로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