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빚에 빠진 한국 경제 기획보도, 어제에 이어 오늘은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으로 떠오른 부동산PF 부실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최근 건설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주택 공급난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대책을 내놨죠. 자금난에 빠진 사업장에 PF 보증을 더 늘려 어떻게든 부도를 막겠다는 건데, 이 같은 대책이 전 금융권 부실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김지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오피스텔이 들어설 예정이던 서울 한남동의 한 부지. 지난해 말부터 공사가 시작됐어야 하지만 첫 삽도 뜨지 못했습니다.
고금리와 자잿값 인상 여파에 자금난에 부딪히자, 이곳에 돈을 댄 한 투자운용사가 지분을 매각한 겁니다.
인근 상가 관계자
"금방 (공사)팔 줄 알았는데 너무 오랫동안 안파고 이럴거면 뭐하러 주유소를 닫았는지…."
서울 곳곳의 노른자 땅마저 매물로 나오는 등 부동산PF 시장을 둘러싼 부실 우려가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6월 기준 전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133조 1천억원. 연체율은 석달 새 크게 증가해 2.17%를 기록했는데, 이 가운데 증권사 연체율은 무려 17.3%에 달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정부가 '자금 중심'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해 금융권의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추경호 / 기획재정부 장관
"기존 금융지원 프로그램에 20조원 이상을 증액하여 총 지원수준을 약 40조원 규모로 확충하겠습니다."
아직 경기가 살아나지 않은 상황에서 추가 대출을 공급할 경우 손실 규모가 불어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황세운 /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대출액이 늘었을 때 거기서 발생하는 연체율 증가 부실화의 위험성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는거 거든요."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전 금융권의 건전성이 흔들릴 수 있는 만큼 좀 더 세부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TV조선 김지아입니다.
김지아 기자(kimjiah@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