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경남 산청에서 난 산불 일주일이 되도록 아직까지 꺼지지 않고 있습니다.
불이 꺼지는가 싶다가도 건조한 낙엽더미로 인해서 몇 번이고 되살아나고 있는데요.
이상훈 기자가 이 소식 전하겠습니다.
◀ 리포트 ▶
지리산 자락 산 중턱.
진화대원들이 낙엽을 바람으로 걷어내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불길이 낙엽 더미로 접근하자 긴박하게 갈퀴로 걷어냅니다.
걷어낸 낙엽 더미는 대원 허리 높이나 됩니다.
진화율이 90%까지 올랐던 산불은 다시 되살아나 지리산까지 덮치고 있습니다.
강풍과 더불어 건조한 낙엽층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헬기가 연거푸 진화에 나섰지만, 경남 산청의 한 마을에선 벌써 세 번째 산불이 되살아 났습니다.
[경남 산청군 신천마을 주민]
"계속요. 낮에 하루 종일 꺼놓으면, 헬기가 와서 꺼놓으면 밤에 또 되살아나고 되살아나고…낙엽도 많고 워낙 말라서…"
"산불 진화 현장입니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고 손을 대면 열기가 느껴집니다. 물에 젖은 낙엽을 걷어내자 메마른 낙엽이 수북하게 쌓여 있습니다."
[홍구탁/산불전문진화 대장]
"이 위에 있는 '지표화'는 불 끄기가 쉬운데 '지중화'가 된 산은, 낙엽층이 두꺼운 산은 불 끄기가 힘들죠. 땅속으로 불이 스며드니까…"
낙엽에 불을 붙여 실험해봤습니다.
평균 수분 함량인 낙엽 더미와 건조한 낙엽 더미에 동시에 불을 붙이자 건조한 낙엽 더미가 2배나 빨리 탑니다.
초속 3미터의 바람까지 더해지면 6분이나 빨리 타버립니다.
[장미나/국립산림과학원 박사]
"불씨는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수분을 조금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안 타고 있다가 그게 이제 다시 산소가 공급되고 건조해지면 또다시 불꽃이 일어나게 되죠."
산림과학원은 우거진 숲 속에 쌓여 있는 낙엽 더미에서는 400도 이상인 숨은 불씨가 최대 일주일 동안 있을 수 있다며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이상훈입니다.
영상협조 : 국립산림과학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