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영남지역을 그야말로 초토화 시켰던 산불이 마무리 단계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불은 진화됐지만 초토화된 농업과 상업 등 경제기반을 살리고 이재민 등에 대한 후속 지원이 시급한 상황인데요.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등 지자체들이 신속하게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사망 30명, 부상 45명, 피해 규모만 4만8,000여 ㏊.
역대 최악의 산불로 기록된 영남권 산불.
지난 21일 경남 산청을 시작으로 22일 울산 울주, 경북 의성 등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은 한때 이재민만 3만여명에 이를 정도로 큰 피해를 남겼습니다.
산불 진화가 사실상 마무리 되자 경상북도와 경상남도는 발빠르게 지원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이철우 / 경북도지사> "경북도에서 모범적으로 모듈주택 한 1500채 정도 준비해서 이걸 1년간 쓰고 그 다음에 집을 지어 드리고…"
경북도는 무상으로 지원받은 모듈러주택을 우선 설치해 이재민에게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또 거주지 인근 긴급주거시설과 농업, 수산업 등 피해 산업을 지원하는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 특별법' 제정을 정부, 정치권과 협의해나갈 계획입니다.
경남도도 산청 산불 주불진화와 더불어 이재민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경남도는 산청과 하동 등 피해를 입은 3개 면 주민에게 1인당 3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자는 1만명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박완수 / 경남도지사> "이번 산불로 생계 유지가 곤란한 가구에 대해서는 긴급복지지원과 희망지원금을 통해서 집중 지원하겠습니다."
또한 지원 기준을 초과했다고 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긴급지원심의위원회를 통해 적극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경남도는 임시 주거지를 제공하되, 장기적으로는 정부 주거비와 추가 융자 2차 보전을 통해 이재민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한다는 방침입니다.
경남도와 경북도는 아울러 이번 산불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에 대해서는 장례금 일체와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
(영상취재 최문섭, 진교훈, 김완기, 이태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호진(jinlee@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