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학교를 떠난 의대생의 복귀 마감 시한으로 정한 어제(31일), 전국 40개 의과대학 가운데 38곳에서 사실상 전원 복귀한 걸로 알려졌습니다. 의대생 단체는 복학 후에도 투쟁을 계속하겠다는 방침이라 실제 수업에 참여할지가 관건입니다.
장훈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대와 연세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비롯해 의대마다 복귀 행렬이 이어졌습니다.
제적 위기가 코앞으로 닥치면서 미등록 투쟁이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다, "각자의 선택을 존중받아야 한다"는 의대생들의 실명 성명이 나온 것 등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관건은 실제 수업 참여율입니다.
상당수 의대에서 복학생 보호를 위해 비대면 수업을 병행하기도 했는데, 수강을 철회하는 경우도 있어 실제 수업을 듣는 비율이 50%에 못 미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대생 단체는 그제 등록 후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기도 했습니다.
[비수도권 의과대학 학생 : 제적이 실제로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서 돌아간 것뿐이니까 학생들이 갑자기 수업에 정말로 복귀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업 거부가 유급은 물론, 제적까지 이어질 수 있다"면서, "내년 모집인원 동결의 조건은 등록금 납부가 아니라, 정상 수업"이라고 못 박았습니다.
의대 총장들은 최대한 출석을 유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이해우/동아대 총장·의총협 공동회장 : 정상적으로 수업을 해야만 2026년도 (의대) 정원을 3천58명으로 하겠다고 했는데 그게 무산돼 버리면 사실 지금까지 했던 게 효과가 없죠. 좀 심각성을 받아들여야 되는데….]
교육부는 다음 주 이후, 최종 복귀율을 집계해 내년도 모집인원을 판단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영상편집 : 신세은, VJ : 신소영)
장훈경 기자 roc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