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이 심상치않게 흘러가면서 난제들을 어떻게 풀지가 걱정입니다. 여러 정부에서 중책을 맡았던 석학들이 '통일과 나눔' 재단 주관으로 초당적 대응을 논의했는데, 윤석열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외교안보 멘토로 불린 인사들의 방향성은 서로 달랐습니다.
열띤 현장을 이채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노무현 정부부터 문재인, 윤석열 정부까지 외교안보 분야 중책을 맡았던 석학들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초당적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모였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외교안보 멘토로 불리며 초대 안보실장을 역임한 김성한 고려대 교수는 북한의 핵군축 협상 시도는 한미일을 핵심축으로 한 공조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고, 주한미군 역할조정에 대해선 미국의 요구대로 '북한 방어뿐 아니라 중국을 억제하는 역할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김성한 / 고려대학교 교수 (고려대 경제기술안보연구원장)
"(중국 견제는) 일본ㆍ미국ㆍ호주 이런 나라들이 주로 해야 될 일이다라는 식의 굉장히 민족주의적인 그런 어떤 자세가 과연 얼마만큼 보탬이 될 수 있을지 진실의 순간이 다가옵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의 통일외교안보 특보를 지낸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먼 나라와 우호관계를 맺는 '원교근공'도 옛날 얘기라며 김 교수와 각을 세웠습니다.
문정인 / 한겨레통일문화재단 이사장 (前 외교안보특보,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저는 김성한 교수님하고 달리 보는데 (헨리 키신저도) '왜 중국을 적대화시키려고 하느냐'라고 하는 얘기를 하는데 이건 좀 생각을 해야 될 것 같아요. 원교근공은 춘추전국 시대 때 얘기인 거고"
참석자들은 불확실성 시대 속 정부 차원의 초당적 논의 기구가 필요하단 지적엔 견해가 일치했습니다.
tv조선 이채현입니다.
이채현 기자(lee229@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