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이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예고한 상호관세 발표가 임박했습니다.
미국 정부가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지 않은 가운데, 여러 시나리오가 거론되는데요.
우리 정부는 미측에 면제를 요청하기도 했지만, 현실적으로 상호관세 부과가 불가피하다고 보고 최악을 피하는 방안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 시각으로 3일 새벽 5시 상호관세를 발표합니다.
대상은 전 세계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즉시 발효됩니다.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은 아직도 밝혀진 것이 없어 발표를 앞두고 20% 단일 세율, 국가별 차등 적용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조치를 예고한 이후 산업통상자원부는 모두 네 차례 미국을 찾아 행정부 주요 인사들과 만났습니다.
당초 우리 정부의 요구사항은 미국의 관세조치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해달란 것이었습니다.
<안덕근 / 산업부 장관(2월 28일 특파원간담회)> "관세조치와 관련하여 우리 기업의 우려사항을 전달하며 면제를 요청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 측에서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자 상호관세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건 불가피하다고 보고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데 주력하기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안덕근 / 산업부 장관(3월 21일 특파원간담회)> "대부분의 국가들이 관세 조치의 영향을 피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은 단판 승부가 아닙니다."
미국의 발표 이후에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조정될 여지가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만큼, 우리 정부의 장기 협상전은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 과정에서 우리 기업들의 대규모 대미 투자 결정과 조선업 협력,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등을 부각하며 다른 국가보다 낮은 관세율을 받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주영입니다.
#트럼프 #상호관세 #산업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