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FTA로 관세의 영향을 덜 받을 거란 전망도 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고율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일본, 유럽연합보다 높은 세율을 적용받은 건데요
범정부 차원에서 패키지 딜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자 종합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단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나 외교 당국의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상호 관세율이 부과됐기 때문입니다.
대미 무역 흑자 순위가 비슷한 일본은 24%, 유럽연합은 20%로 우리나라보다 더 낮은 세율을 적용받았습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 FTA 발효로 '무관세'에 가까운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낮은 관세가 부과될 거란 일각의 관측도 있었지만 빗나간 겁니다.
정부는 대미 무역 흑자가 비슷한 나라의 관세 부과율과 비교분석한 뒤 빠르게 협상에 임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문가 사이에선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단 의견이 나옵니다.
<양 욱/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트럼프는) 높은 관세로 먼저 기선 제압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 가면서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종합적인 대책 접근, 트럼프 정부의 수뇌부와 대화조차 이뤄지지 않는 상황은 굉장히 우려스러운..."
한 외교 소식통도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 상 개별 건으로 협상에 나서기 보다는 패키지 딜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게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가령 미국이 우리의 기술력을 인정하고 있는 선박 정비와, 유지, 보수 MRO 사업 협력은 물론 에너지 협력, 미국산 액화천연가스 LNG 수입 확대 등 다른 사업들과 연계해 관세 조정에 나서는 게 유리할 수 있다는 겁니다.
다만, 대통령 탄핵 사태로 리더십 공백이 길어진 상황에서 톱-다운 방식을 선호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특성을 고려할 경우 얼마나 실효성 있는 대안 마련과 협상이 이뤄질 지는 미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상호관세 #트럼프_2기 #더티_15 #한국_25%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