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대학로에서 작은 돌풍을 일으킨 연극이 있습니다. 트렌스젠더 배우 색자(69)씨의 1인 자전극 "뺨을 맞지 않고 사는 게 삶의 전부가 될 순 없더라" 입니다. 지난해 8월 첫 공연에 이어 올해 펼쳐진 두 번째 공연도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관객과의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은 "큰 용기를 얻고 간다"며 눈물 담긴 고마움을 전하곤 했는데요. 내년이면 일흔 살이 되는 색자 씨는 "지난 세월 나는 '감히' 미래를 꿈꿀 수 없었지만 이제 후배 퀴어들은 꿈을 가져도 괜찮다"며 우아함과 당당함을 잃지 말자고 당부했습니다.
[기사내용]
[색자/배우]
엄마가 날 가졌을 때 태몽 꿈속에서 '잘못'을 했대. 그래서 이런 말을 들었대. "당신이 가진 아이는 남자아이인데 태어나면 여자같이 굴 것이다."
〈연극 "뺨을 맞지 않고 사는 게 삶의 전부가 될 순 없더라" (2025)〉
자신이 '잘못' 태어났다 여기는 부모를 마주하며 '더는 사랑 받을 수 없겠다' 깨달은 학창 시절, 아이는 아예 이렇게 생각해버리기로 결심합니다.
[색자/배우]
신이 그렇게 준 거 아닐까? 이런 인생도 살아보라고. 벌 받은 거라곤 생각 안 해. 신이 우리를 선택한 거라고 우아하게 생각하기로 결정했어.
세상이 씌운 '남자'라는 굴레가 맞지 않음을 깨달은 중학생 때 결국 집을 떠났고
그 뒤 반백 년 넘는 세월 동안 사회가 그어놓은 차가운 선을 부지런히 허물며 살았습니다.
[색자/배우]
나는 여자도 남자도 아니야. 나는 (그게) 안 중요해.
그 살아온 시간을 그저 있는 그대로 꺼내 보였더니 한 편의 유쾌한 연극이 됐습니다.
여관방에서 다섯 시간 동안 성확정 수술을 받을 때 아무에게 말 못 한 수십 년 전 그날의 두려움도
작은 무대 위에 오르니 비로소 꺼낼 수 있게 됐고
[색자/배우]
사실 나 무서웠어 나도 사람이잖아.
태몽을 잘못 꾼 탓이라 자책하던 엄마에겐 이 말을 전했습니다.
[색자/배우]
엄마 엄마 그거 엄마 잘못 아냐. 젠더도 잘못 아냐. 그거 꿈이야.
풍기문란죄로 구류 처분을 받고 폭염 속 '닭장차'에 갇힌 기억도 생생하지만 그럴 때마다 이 말을 외칩니다.
[색자/배우]
내가 있어서 세상이 있을 수도 있어. 내가 어때서? 네가 어때서? 너는 아주 고귀하게 태어났어.
트렌스젠더 바에서 공연을 해오다 9년 전부터 연기도 하게 됐는데, 자신의 이야기를 펼친 이 연극은 지난해 첫 공연에 이어 올해도 전석 매진을 기록했습니다.
공연 뒤, 울먹이는 관객들이 가장 많이 전하는 단어는 용기와 감사인데 그때마다 또 경쾌한 답을 건넵니다.
[색자/배우(관객과의 대화, 3월)]
봐요. 나 이 나이에 이렇게 당당하게 있잖아. 자기도 얼마든지 할 수 있어요.
꿈이 없다며 힘들어하는 퀴어 관객에겐 이 말을 꼭 해주고 싶다 합니다.
[색자/배우(관객과의 대화, 3월)]
난 꿈을 가져야 해 난 꿈을 가질 수 없어 그러지 말고 소박한 꿈부터. 제일 중요한 건 난 소수자야 이런 (위축된) 생각을 먼저 가지면 안 돼요.
내년 일흔을 앞둔 지금, 그간 풍파를 마주하고 보니 그래도 다가올 세상은 더 나아지는 것 같다는 다독임도 전합니다.
[색자/배우]
다 같이 어우러질 수 있는, 조금 더 우리들을 이해해주고 같이 나아갈 수 있는 그런 시간들이 점점 더 많이...그렇지 않을까요?
퀴어에 한정되지 않은, 이 역할을 꼭 해보고 싶다는 배우 색자 씨,
[색자/배우]
어른이잖아요. 많이 살아온. 그래서 모든 걸 표현할 수 있는 역할이 할머니가 아닌가 싶어서.
먼 훗날, 사람들에게 이 한 마디로 기억될 수 있다면 참 좋겠다 했습니다.
[색자/배우]
삶을 개척한 색자. 용감했던 색자.
(화면제공 '여기는 당연히, 극장')
강나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