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안보 수뇌부가 군사작전 계획을 민간 메신저로 공유하고, 채팅방에 실수로 언론인을 초대한 사건의 여파가 거셉니다.
이른바 '시그널 게이트' 사건이 기밀 유출에 해당하느냐에 대한 논란을 법원이 판단하게 됐는데요, 정래원 기자입니다.
[기자]
'시그널 게이트' 사건이 법정 심리에 들어갔습니다.
정부 투명성을 감시하는 단체 '아메리칸 오버사이트'가 위법성을 확인하고, 기록을 보존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한 겁니다.
법원은 우선 단체의 요구대로 시그널 채팅 메시지에 보존 명령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 주심은 앞서 베네수엘라 국적자 강제 추방에 제동을 걸며 트럼프 대통령과 정면충돌했던 제임스 보스버그 판사.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담당 판사에 대한 공격에 나섰습니다.
판사에게 가족 문제가 있다며 재판과 무관한 개인사를 언급하고, 사건을 판사에 배정하는 사법 시스템에 '조작'이 있다고도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대화 전문이 공개된 뒤에도 기밀 유출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현지시간 27일)> "위치 정보도, 경로도, 비행 항로도 없고, 출처도 없고, 방법도 없고, 기밀 정보도 없습니다."
개인에 대한 공격은 실수로 단체방에 초대돼 군사작전 계획을 공유받은 언론인을 향해서도 이어졌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현지시간 26일)> "그들은 이제 말장난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 쪽으로 잘 알려진 언론인의 선정적인 왜곡이라는 걸 알기 때문입니다."
법무부는 이 사건 수사에 착수할 의지가 없음을 내비쳤습니다.
'트럼프 충성파'로 알려진 팸 본디 법무부 장관이 기밀 유출은 없었다는 정부의 기본 입장을 재확인한 가운데 법원이 어떤 판단을 내릴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정래원입니다.
#시그널게이트 #트럼프 #제임스보스버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래원(one@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