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산불 현장에서 산불진화대원들이 목숨을 잃으면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과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 취재 결과 산림청은 전문 훈련센터가 필요하다고 몇 년 전부터 주장해 왔지만, 예산 확보부터 번번이 무산됐던 걸로 확인됐습니다.
전연남 기자입니다.
<기자>
최대 초속 15m 강풍이 불던 지난 22일 경남 산청 산불 현장.
최전선에 투입돼 불을 끄던 산불 진화대원 8명이 고립되면서 60대 진화대원 3명이 숨지고 5명이 크고 작은 부상을 당했습니다.
이처럼 산불 현장에서 안타깝게 목숨을 잃거나 다치는 진화대원들이 적지 않은데, 국내에는 산불진화대가 사전에 훈련받는 시설은 없습니다.
실습이 없이 이론교육만 이뤄지다 보니, 안전사고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바람의 방향도 수시로 바뀌고, 산세도 험하고 또한 야간작업도 이뤄지는 경우도 많아서 이론 교육만으로는 제대로 대처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죠.]
이에 따라 산림청도 산불진화대 전문 훈련시설의 필요성을 주장해 온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SBS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은 지난 2022년부터 미국 국가산불협력센터, NIFC와 같은 전문적인 산불진화 훈련센터의 국내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듬해에는 사전 타당성 평가까지 진행했습니다.
총 424억 원을 투입해 전문 훈련센터를 만들고 난이도에 따른 수준별 산불 대응과 장비 사용, 방화선 구축 등 다양한 실전 교육을 하겠다는 계획이었습니다.
[남성현/당시 산림청장 (지난 2023년) : 그야말로 산불과의 사투를 벌이고 있는데…. 국립산림재난안전교육센터 설립을 지금 추진, 대전 세종에 하려고 프로세스를 바꿔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작부터 막혔습니다.
지난해 5월 산림청이 훈련센터 기본설계비 예산 9억 원을 요청했지만 기획재정부 판단으로 예산안에 담기지 못했고, 이후 국회에서 다시 예산 논의가 이뤄졌지만, 여야 정쟁 속에 무산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건조한 봄철에 매년 발생하는 대형 산불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라도 산불진화대 전문 훈련시설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나영, 자료제공 : 민주당 윤준병 의원실)
전연남 기자 yeonnam@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