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국내 수출 중소기업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정부는 사안의 긴급성을 고려해 피해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오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한 가운데 대미 수출 중소기업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발효된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대한 품목별 관세의 타격은 이미 가시화됐습니다.
< 이용호/ 자동차 부품 수출 기업 대표> "컨테이너 하나당 한 2,500만원 안 내던 관세를 계속 내고 있어요. 고객사와 협상을 해야 되는데 가격 인상이 되면 고객사는 미국 국내 업체로 바꾸게 될 가능성도 많고…."
국내에 생산기지가 있는 중소기업 입장에선 관세를 피할 뾰족한 수가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류영균/ 자동차 부품 수출 기업 대표 >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현지에 가지 못하고 한국에서 생산하는 입장이 많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있어서 많이 어려움이 있을 것 같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중소기업중앙회의 조사 결과,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은 "관세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출 중소기업의 긴급한 관세 대응 필요성을 고려해, 중소벤처기업부와 관세청은 협력 체계를 구축해 신속히 관세 정보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당장 이달부터 290억원 규모의 '수출 바로 프로그램'도 시행됩니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미국 관세 조치로 인한 피해 또는 우려 기업에 대해서는 결격 사유만 확인하는 패스트트랙 방식을 적용해 신청 후 1개월 내에 신속히 지원하겠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탄'에 전세계 경제가 요동치는 가운데, 정부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중장기적으로 미국을 대체할 새로운 시장을 찾는 방안까지 지원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오주현입니다.
[영상취재기자 김세완]
#중소기업 #관세 #타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