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출신 베선트 美재무, 상호관세 결정 핵심그룹서 밀려"(종합)

2025.04.06 방영 조회수 0
정보 더보기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광범위한 상호관세 계획 발표 후 월가 금융회사 고위 경영진들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향해 트럼프 대통령을 적극적으로 설득해 달라고 도움을 요청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5일(현지시간)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나 베선트 장관이 관세 정책 수립의 핵심 라인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오면서 월가가 충격에 빠졌다고 이 통신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고 3일 금융시장이 극심한 패닉에 빠지자 베선트 장관의 휴대전화에는 월가 헤지펀드와 금융회사 경영진들의 문자 메시지가 쏟아졌다. 이들은 관세 문제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을 적극적으로 설득해 달라고 도움을 요청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베선트 장관은 조지 소로스가 운용하는 펀드의 최고투자책임자(CIO)를 거쳐 헤지펀드 '키스퀘어 그룹'을 창업한 인물이다. 그는 극단적인 관세 부과가 경제에 타격을 주고 시장 혼란을 야기할 것이란 우려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잘 설명할 수 있는 인물로 월가는 여겨왔다. 그러나 이번 상호관세 정책 수립 과정에서 베선트 장관은 정책의 주요 주도자가 아니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베선트 장관의 역할은 다양한 수준의 관세가 시장 및 경제에 미치는 잠재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역할에 머물렀다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관세 발표 전부터 월가 주요 인사들이 공개적으로 비판 목소리를 내고, 일부는 베선트 장관에게 비공식적으로 도움을 요청했지만 이 같은 목소리는 최종적인 정책 결정에 그다지 반영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베선트 장관이 관세정책 결정의 변방에 머무는 사이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핵심적인 '관세 책사' 역할을 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런 가운데 베선트 장관이 사임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미국 시사잡지 '뉴리퍼블릭'은 MSNBC의 사회자 스테파니 룰의 발언을 인용해 베선트 장관이 경제에 충격파를 던진 상호관세 발표 이후 트럼프 행정부를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 수립 과정에서 고립된 베선트 장관이 자신에 대한 시장의 신뢰 회복을 위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으로 출구를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월가 거물급 인사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충격을 미칠 것이라고 지속해 우려를 표명해왔다. 앞서 헤지펀드 시타델의 켄 그리핀 창업자는 관세가 미국의 경쟁력을 둔화시킬 것이라며 여러 차례 비판의 목소리를 냈고,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은 관세에 대해 "어느 정도 전쟁 행위"라고 부르기도 했다. 다만, 대다수 월가 경영진은 트럼프 대통령의 분노를 사는 것을 두려워하며 공개적으로 견해를 표명하는 것을 피하고 로비스트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우려를 전달해왔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상호관세 정책 발표 후 3∼4일 뉴욕증시는 물론 전 세계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지면서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신흥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나바로 고문을 향해 우회적으로 불만을 표출한 상태다. 머스크는 5일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쓴 엑스(X·옛 트위터) 게시글에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썼다. p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연합뉴스 20250406 16

  • 러 02:26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늘려"…우크라 "허위주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관세 불만?…머스크, 트럼프의 '관세책사' 나바로 비판 댓글 02:38
    관세 불만?…머스크, 트럼프의 '관세책사' 나바로 비판 댓글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 02:38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트럼프와 이견?…머스크 02:38
    트럼프와 이견?…머스크 "美·유럽 '무관세' 자유무역지대 희망"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02:38
    "월가 출신 베선트 美재무, 상호관세 결정 핵심그룹서 밀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02:38
    "월가 출신 베선트 美재무, 상호관세 결정 핵심그룹서 밀려"(종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트럼프 퇴진구호 '핸즈오프'…미국 시민저항 본격화하나 02:38
    트럼프 퇴진구호 '핸즈오프'…미국 시민저항 본격화하나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워싱턴기념탑 주변 수만명 운집(종합) 02:38
    美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워싱턴기념탑 주변 수만명 운집(종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러, 휴전성사 난망 속 우크라 수도 키이우에 또 공습 02:26
    러, 휴전성사 난망 속 우크라 수도 키이우에 또 공습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트럼프와 이견?…머스크 02:38
    [영상] 트럼프와 이견?…머스크 "美·유럽 '무관세' 자유무역지대 희망"
    조회수 3
    본문 링크 이동
  • 03:24
    "트럼프 대통령에 관세협상은 우선순위 아니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03:24
    "트럼프 관세폭탄 맞은 남극 인근 펭귄들 항의시위"…밈 속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영상] 러 02:26
    [영상] 러 "우크라, 에너지 시설 공격 늘려"…우크라 "허위주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골프대회·모금행사…금융시장 패닉 속 트럼프는 '돈벌이' 분주 03:24
    골프대회·모금행사…금융시장 패닉 속 트럼프는 '돈벌이' 분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03:24
    "손 떼라!" 미국 전역서 트럼프 반대 시위…50만명 운집(종합2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백악관 03:24
    백악관 "50개국 넘게 협상 요청…美소비자에 관세 큰 영향 없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 SKT 00:51
    SKT "국가 단위 지능형 해킹 통신 3사 공동 대응 필요"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 [뉴스나우] 비트코인, 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어디까지 갈까? 14:39
    [뉴스나우] 비트코인, 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어디까지 갈까?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 [경제읽기] 한‧일‧대만, 美 반도체 관세에 공동 경고…자제 요청 16:23
    [경제읽기] 한‧일‧대만, 美 반도체 관세에 공동 경고…자제 요청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4 환율, 달러 약세에 10원 이상 '급락'…1,370원대로 00:45
    환율, 달러 약세에 10원 이상 '급락'…1,370원대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5 02:11
    "SKT 사고, 이미 어마어마한 피해 발생...역대급" 새로운 정황에 직격 [지금이뉴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6 오늘의 증시 01:22
    오늘의 증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7 서울 빌라 실거래가 2년 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00:46
    서울 빌라 실거래가 2년 9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8 부동산 '부실 PF' 24조‥ 01:24
    부동산 '부실 PF' 24조‥"6월까지 절반 정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9 '비트코인 피자데이' 이벤트 날…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 01:42
    '비트코인 피자데이' 이벤트 날…사상 첫 11만 달러 돌파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0 관세청 580억대 가상자산 환치기‥러시아인 환전상 적발 00:45
    관세청 580억대 가상자산 환치기‥러시아인 환전상 적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1 [영상] 국내에 상표 등록한 일본 다이소…저가용품도 한일전? 06:24
    [영상] 국내에 상표 등록한 일본 다이소…저가용품도 한일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2 오늘의 증시 01:23
    오늘의 증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3 미친 듯이 돈 뿌리더니...결국 한국 재치고 배터리 시장 제패한 중국 [굿모닝경제] 03:52
    미친 듯이 돈 뿌리더니...결국 한국 재치고 배터리 시장 제패한 중국 [굿모닝경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4 20대 일자리 역대 최대 폭 감소…내수 부진에 '청년 고용' 위축 02:06
    20대 일자리 역대 최대 폭 감소…내수 부진에 '청년 고용' 위축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5 안 그래도 힘든데…서민 노린 '저금리 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기승 01:44
    안 그래도 힘든데…서민 노린 '저금리 대출' 빙자 보이스피싱 기승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6 뉴욕증시, 美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급락 마감 01:37
    뉴욕증시, 美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급락 마감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7 [3분증시] 미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뉴욕증시 급락 마감 02:57
    [3분증시] 미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뉴욕증시 급락 마감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8 02:06
    "신용등급 낮아도 저금리로 해드려요"…'대출 빙자' 경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9 '대출 사기' 주의보‥은행 약관·공문도 조작 02:04
    '대출 사기' 주의보‥은행 약관·공문도 조작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0 [와글와글 플러스] '여름 휴가비' 줄이려면‥'언제' 떠날까? 00:58
    [와글와글 플러스] '여름 휴가비' 줄이려면‥'언제' 떠날까?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1 [글로벌증시] 뉴욕증시, 美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급락 마감 03:04
    [글로벌증시] 뉴욕증시, 美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급락 마감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2 브라질산 수입 중단‥'닭강정·닭꼬치' 어쩌나 02:13
    브라질산 수입 중단‥'닭강정·닭꼬치' 어쩌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3 이번엔 쓸만할까?…구글-삼성 스마트 안경 협업 02:20
    이번엔 쓸만할까?…구글-삼성 스마트 안경 협업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4 ■ 5월 22일(목) 경제 캘린더 01:07
    ■ 5월 22일(목) 경제 캘린더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5 '스드메' 가격 격월 공개… 00:47
    '스드메' 가격 격월 공개…"결혼서비스법 신속 제정"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26 대선 후보들, 성장에 '방점'...재원 마련은 '부실' 03:21
    대선 후보들, 성장에 '방점'...재원 마련은 '부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7 고의성 입증부터 난관…예방 장치도 부족 02:19
    고의성 입증부터 난관…예방 장치도 부족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8 [기업] 현대차, '2026 그랜저' 출시...고객 선호 사양 넣은 '아너스' 트림 마련 00:18
    [기업] 현대차, '2026 그랜저' 출시...고객 선호 사양 넣은 '아너스' 트림 마련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9 30도 육박 초여름 더위...식중독 '주의보' 01:48
    30도 육박 초여름 더위...식중독 '주의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0 01:59
    "다이어트 건기식 중복 섭취 주의해야"…부작용 위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