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학교 수업에서 종이책 대신 태블릿PC를 활용하는 AI디지털교과서가 이번 학기부터 일부 학교에 도입됐습니다.
한 해 1조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들어가지만, 교육적 효과와 부작용을 놓고 논란이 여전한데요.
실제 교실 상황은 어떤지 제은효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 리포트 ▶
AI디지털 교과서 도입 한 달 만에, 교육부가 수업 현장을 공개했습니다.
대구의 한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시간.
"1 더하기 5 더하기 6을 하면 얼마예요? <12> 12가 되네요. 12가 되면? "
학생들이 태블릿을 이용해 직접 만든 문제들을 친구들과 공유하며 풀어봅니다.
이 학교는 영어 수업에서도 종이 교과서가 사라졌습니다.
"목말라, 물 있어?"
AI교과서에 사활을 걸어온 이주호 사회부총리는 수업 현장을 둘러본 뒤 만족감을 나타냈습니다.
[이주호/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전혀 문제없이 능숙하게 쓰는 모습을 보니깐 정말 이 정책이 현장에서 드디어 뿌리를 내리겠구나.."
그러나 전국 초중고 가운데 AI교과서를 채택한 곳은 33%에 불과합니다.
이 부총리가 찾은 대구 지역만 98%로 압도적인 채택률을 보일 뿐입니다.
그나마 AI교과서를 도입한 곳의 학생들 중 접속 계정에 가입한 학생도 70%에 머물러 있습니다.
아직 10명 중 3명은 사용도 못 해봤단 뜻입니다.
가입부터 난관이기 때문입니다.
종이로 출력된 학생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여러 장을 일일이 학교에 내야 하는 등 가입에만 보름이 걸린 학교도 있습니다.
[김차명/경기 초등교사]
"'(교육)디지털원패스' 가입해야 되고 그 다음번에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는 교과마다 받아야 되니까 다 받으면 4장, 6장 이래요."
교실의 인터넷 연결 문제부터 접속 오류, 시스템 불안정 등 시행 초기부터 불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인천 고등교사(음성변조)]
"아이가 오늘 (접속에서) 튕겼어요. 튕겨서 나가졌어요. 근데 다시 못 들어오더라고요. 그러니까 이게 시스템 오류인 거죠."
교사가 학생 개인의 단말기를 통제할 수 없어, 수업 중 게임이나 검색을 하기도 합니다.
[인천 고등교사(음성변조)]
"유튜브 보다 걸린 애가 있었죠. 애들이 화면 분할을 해버리면 제가 화면 제어를 해도 사실은 통제가 안 되는.."
디지털교재를 수업에 활용하는 기존의 이른바 '에듀테크'와 별 차이를 못 느끼겠다는 평가도 있지만, 정부는 잘 될 거라고만 합니다.
[이주호/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도입이) 성급하지 않았나' 지적이 있는데 어떻게 보세요?> 신학기 바로 시작하자마자 다 되면 좋은데 조금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이제는 다 이제 준비가 돼 있다.."
너무 일찍 도입한 것 아니냔 논란 속에 이주호 부총리는 오늘 사우디에서 열린 국제행사에 참석해 AI교과서 등을 주제로 강연했습니다.
MBC뉴스 제은효입니다.
영상취재: 김동세, 김창인 / 영상편집: 김현수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김동세, 김창인 / 영상편집: 김현수
제은효 기자(jenyo@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