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 군이 러시아 격전지에 파병할 병사들을 선별하면서 탈북민 가족과 군 복무중 징계를 받은 병사를 포함하란 지침을 내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이 사실상 '총알받이' 병력을 보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김자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평양을 찾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가안보회의 서기를 반갑게 맞습니다.
김정은은 우크라이나와 전쟁 중인 러시아를 계속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실제 지난해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1만 2천여 명 가운데 절반 가까운 4천명여 명이 죽거나 다쳤지만, 북한은 올들어 3천 명 넘는 병력을 추가로 보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대북 소식에 정통한 한 매체는 북한이 사실상 전장에서 숨져도 상대적으로 덜 문제가 될 병사들을 이른바 '총알받이'로 보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해외 특별훈련이란 명목 아래 파병군 선발 지침을 하달하면서, 탈북민 가족이나 군 복무 중 징계를 받은 소위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포함하라고 했단 겁니다.
김명성/ 샌드연구소 연구원
"(군) 총정치국 문건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도 파병군에 포함시켜라' 했는데, 뭐 탈북자 가족이나... 반면 간부 자녀들은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러시아에 보내진 북한군 대부분은 격전지 쿠르스크에 배치돼 큰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부상병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대신 치료 후 다시 전투에 내보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 당국은 전사자 가족에 함구령을 내렸는데, 자식의 죽음을 전해듣고 실신한 부모들 때문에 여론이 나빠지자, 최근 파병군 사망통지서 발급조차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TV조선 김자민 입니다.
김자민 기자(ben@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