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즘] 소비자 편익에도 곳곳 진통…공유경제 앞날은

2019.12.08 방영 조회수 1
정보 더보기
[뉴스프리즘] 소비자 편익에도 곳곳 진통…공유경제 앞날은 [명품리포트 맥] ▶ 한 지붕 두 식당·밤엔 택시 반값…일상 속 공유경제 네온 사인에 불이 들어오고 가게 주인이 바뀝니다. 저녁이면 문을 닫던 간식 매장이 야간 카페로 한 번 더 문을 열고 있는 겁니다. 공간을 나누거나, 시간대를 달리해 여러 명의 사장이 가게를 운영하는 '공유주방'의 한 종류인데, 국숫집을 하다 폐업했던 가게주인은 공유주방에 들어와 전에 겪은 어려움을 덜었다고 이야기합니다. "인건비하고 임대료 상승 부분 때문에 힘들어서 폐업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여기 자리가 나서 들어왔는데 문제됐던 부분이 해결…" 이렇게 공유주방을 열 수 있었던 건 '규제 샌드박스' 덕이 컸습니다. 그동안 불법이던 시설과 장비 등의 공동 이용이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소자본 창업, 운영비 절감이라는 장점으로 현재 50여 곳에서 문을 연 국내 공유주방은 내년에는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카풀 논란부터 시작해 최근 타다와 갈등을 겪고 있는 택시업계도 공유경제에 뛰어들었습니다. 밤 10시부터 새벽 4시 사이, 앱으로 목적지를 입력하면 가는 길이 비슷한 승객을 찾아 합승으로 이어줍니다. 서비스 시작 5개월 만에 회원수는 4만 명을 돌파하며 수요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용 승객이) 처음보다 많이 늘어나서 지금 저부터도 그렇고 다른 기사님들도 그렇고 수입이 전보다 늘어…" 카풀 서비스를 빼다박은 택시의 변신에 기사의 수입은 평균 15% 정도 늘었고 승객 반응도 나쁘지 않습니다. "요금이 반이나 줄어서 자주 이용하고 있긴 한데요. 사실 출퇴근 시간에도 이용이 가능하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소비자들의 반응이 아무리 좋더라도 벽은 있습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있어 사업 확장이 어렵고, 임시허가 기간에 관련법이 정비되지 않으면 사업을 아예 접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기존 질서와 법을 두고 줄타기 중인 공유경제는 오늘도 소비자들의 일상 속으로 한 걸음을 내딛고 있습니다

명품리포트 맥 20191208 3

  • [여의도풍향계] 쇄신? 숙청? 여의도 또 휘감는 공천학살의 망령 07:00
    [여의도풍향계] 쇄신? 숙청? 여의도 또 휘감는 공천학살의 망령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기업기상도] 한겨울 온기 돈 기업 vs 얼음판에 낙상한 기업 05:30
    [기업기상도] 한겨울 온기 돈 기업 vs 얼음판에 낙상한 기업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뉴스프리즘] 소비자 편익에도 곳곳 진통…공유경제 앞날은 07:09
    [뉴스프리즘] 소비자 편익에도 곳곳 진통…공유경제 앞날은
    조회수 1
    본문 링크 이동
  • 1 경북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긴장감은 여전 01:42
    경북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긴장감은 여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정부, 피해 수습 총력 14:40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정부, 피해 수습 총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 '5대3' 구도에 결정 못 하나…'尹 선고' 4월로 넘긴 헌재 01:47
    '5대3' 구도에 결정 못 하나…'尹 선고' 4월로 넘긴 헌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4 與 초선 44명 02:09
    與 초선 44명 "줄탄핵은 내란선동"…野 "4월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5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01:42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6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02:46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7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00:37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8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01:58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9 01:42
    "불길 여전히 생생"…산불 트라우마 시달리는 이재민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0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01:44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1 [티조 Clip] 윤상현 13:54
    [티조 Clip] 윤상현 "헌재, 탄핵심판 선고기일 당장이라도 지정할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2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02:51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3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02:12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모두 완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4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20:52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5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 03:51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지속가능성도 모색해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6 [프리즘] 02:17
    [프리즘] "왜 나만 더 내야 하나"…연금개혁에 청년세대 분노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7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04:09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8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 02:09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20억 인류 생존 위협"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9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28:12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0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01:54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1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00:30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2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02:34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3 26명 사망한 경북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 00:32
    26명 사망한 경북 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4 [날씨] 건조특보 한 차례 더 확대…낮에도 평년 밑돌아 01:44
    [날씨] 건조특보 한 차례 더 확대…낮에도 평년 밑돌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5 [이시각헤드라인] 3월30일 일요와이드 01:17
    [이시각헤드라인] 3월30일 일요와이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6 여 02:59
    여 "정당해산 심판 받아야"…야 "중대 결심할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7 미얀마 강진 1,644명 숨져... 02:55
    미얀마 강진 1,644명 숨져..."1만 명 이상 사망확률 71%"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8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당국 잔불정리 총력 01:36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당국 잔불정리 총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9 꽃샘추위 이어져…전국 곳곳 건조주의보 00:58
    꽃샘추위 이어져…전국 곳곳 건조주의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0 러, 휴전협상 중 우크라에 대규모 드론 공격 00:39
    러, 휴전협상 중 우크라에 대규모 드론 공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