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리즘] 어리니까 괜찮다? '촉법소년' 논란

2020.01.05 방영 조회수 6,744
정보 더보기
[뉴스프리즘] 어리니까 괜찮다? '촉법소년' 논란 [명품리포트 맥] ▶ 형사처벌 피하는 '촉법소년' 논란 재점화 지난해 9월 수원시 수원역 인근 한 노래방. 한 여학생이 코 주위가 온통 피투성이가 됐지만, 주위 학생들은 노래를 이어갑니다. 욕설과 폭행은 계속되고 피해 학생은 온 몸이 움츠러듭니다. 직접적인 가해자들은 모두 만 10세에서 14세 미만에 해당하는 '촉법소년'으로 형사처벌은 피했습니다. "법원은 가해 학생 9명 중에서 폭행 가담한 대부분 학생들에게 장기 소년원 2년 송치라는 소년법상 허용되는 가장 엄중한 처분을 내렸습니다." 지난달 26일 경기 구리시에서는 고학년 초등학생이 조부모 집에서 친구를 흉기로 수차례 찔러 숨지게 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가족 험담을 했다는 게 범행 이유였는데, 초래한 결과는 성인 강력범죄 못지 않았습니다. "(소년)범죄가 많이 심각해지는 것 같아서 걱정되고. 아이들 교육 같은 것도 신경써야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좀 많이 안타깝죠. 사회적으로 이슈는 많이 되고 있는데 그에 따른 대책 같은 것은 안 나오고 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촉법소년이 저지르는 범죄는 얼마나 될까요. 통계를 보면, 최근 4년 동안 소년부에 송치된 촉법소년은 2만 8,000여명에 달합니다. 특히 절도나 폭력, 강도, 살인 등 4대 강력 범죄가 77%를 차지할 정도로 상황은 심각합니다." 전문가들은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소년 범죄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꼽습니다. "범죄 정보를 쉽게 접하게 되고 본인이 취약한 가정, 학교 상황에서 기회가 되면 악용하게 되는 능력은 대폭 향상되게 된거죠. 옛날에 20세가 현재 13세 이렇게 범죄지능이 연동해서 발달…" 게다가 교권도 떨어져 과거에 가정과 학교 이중으로 범죄에 대한 인식을 길러주던 구조가 훼손된 것도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단숨에 환경을 바꿀 순 없다보니 강력한 처벌에 대한 목소리는 커지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명품리포트 맥 20200105 3

  • [기업기상도] 첫 시작이 좋은 기업 vs 진퇴양난 빠진 기업 05:26
    [기업기상도] 첫 시작이 좋은 기업 vs 진퇴양난 빠진 기업
    조회수 448
    본문 링크 이동
  • [뉴스프리즘] 어리니까 괜찮다? '촉법소년' 논란 07:22
    [뉴스프리즘] 어리니까 괜찮다? '촉법소년' 논란
    조회수 6,744
    본문 링크 이동
  • [여의도풍향계] 이번에도 열릴까…'제3지대' 향방은 05:43
    [여의도풍향계] 이번에도 열릴까…'제3지대' 향방은
    조회수 686
    본문 링크 이동
  • 1 미얀마 강진 사상자 폭증…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01:59
    미얀마 강진 사상자 폭증…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 [현장연결] 국민의힘 기자회견… 01:46
    [현장연결] 국민의힘 기자회견…"민주당 헌재 압박 중단 촉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 4월 선고될까...문형배·이미선 퇴임 땐 심리 장기화 02:06
    4월 선고될까...문형배·이미선 퇴임 땐 심리 장기화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4 산불 인명피해 75명…산청 진화율 99% 01:34
    산불 인명피해 75명…산청 진화율 99%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5 4월 코앞인데…매서운 꽃샘추위에 눈보라 00:47
    4월 코앞인데…매서운 꽃샘추위에 눈보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6 복지부, '산불 피해 주민 약 복용 불편없게' 재처방 허용 00:42
    복지부, '산불 피해 주민 약 복용 불편없게' 재처방 허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7 30년간 산불피해 경북 1위…3월·일요일·오후 2시 빈발 00:41
    30년간 산불피해 경북 1위…3월·일요일·오후 2시 빈발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8 [현장연결] 경남 산청·하동 주불 진화…잔불 정리 작업 돌입 22:11
    [현장연결] 경남 산청·하동 주불 진화…잔불 정리 작업 돌입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9 경북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긴장감은 여전 01:42
    경북 청송 재발화 일단 '진화'…긴장감은 여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0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정부, 피해 수습 총력 14:40
    역대 최대 규모 산불 피해…정부, 피해 수습 총력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1 '5대3' 구도에 결정 못 하나…'尹 선고' 4월로 넘긴 헌재 01:47
    '5대3' 구도에 결정 못 하나…'尹 선고' 4월로 넘긴 헌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2 與 초선 44명 02:09
    與 초선 44명 "줄탄핵은 내란선동"…野 "4월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하면 '중대결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3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01:42
    [날씨] 고온 건조 '서풍' 다시 온다...'재발화' 우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4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02:46
    지원 늘지만 터전 잃은 슬픔은 여전...이 시각 안동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5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00:37
    '시위 강경진압' 튀르키예, 외신기자 잇달아 체포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6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01:58
    가게 닫고 연차 쓰고…산불 피해지역 자원봉사 줄이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7 01:42
    "불길 여전히 생생"…산불 트라우마 시달리는 이재민들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8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01:44
    '보기만 해도 끔찍한데'…치우지 못하는 산불 피해 잔해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19 [티조 Clip] 윤상현 13:54
    [티조 Clip] 윤상현 "헌재, 탄핵심판 선고기일 당장이라도 지정할 것"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0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02:51
    [포커스] 성묘객 실화가 서울 면적 태웠다…'역대 최악' 산불 149시간의 기록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1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02:12
    마지막 남은 지리산 200m까지 진화…산림청장 "모두 완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2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20:52
    [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3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 03:51
    [프리즘] 연금 대수술한 일본도 한계…"지속가능성도 모색해야"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4 [프리즘] 02:17
    [프리즘] "왜 나만 더 내야 하나"…연금개혁에 청년세대 분노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5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04:09
    전기 끊겨 은어 20만 마리 폐사...통신 복구 시급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6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 02:09
    온난화에 3년간 녹은 빙하 역대 최다…"20억 인류 생존 위협"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7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28:12
    [특보] '尹 4월 선고' 전망에 여야 강경론…추경 속도 내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8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01:54
    [날씨] 휴일 꽃샘추위...건조·강풍 추가 화재 사고 유의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29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00:30
    중, 미얀마 지진에 200억 긴급 원조…구조대 파견도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 30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02:34
    미얀마 강진 사상자 5천여명…군부는 참사 속에도 반군 폭격
    조회수 0
    본문 링크 이동

공유하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