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불길이 시작된 공장 2층에서 일하던 이들 중 절반 가까이는 탈출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탈출하지 못한 이들은 모두 같은 공간에서 숨진 채 발견됐는데요.
사망자들이 왜 이런 상황에 몰렸던 건지, 이문현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리포트 ▶
1차 폭발 후 시꺼먼 연기가 작업실을 뒤덮는데 걸린 시간은 고작 42초였습니다.
불이 워낙 빨리 커지기도 했지만, 화재가 난 지점, 즉 배터리가 쌓여있던 지점도 피해를 키우는 원인이 됐습니다.
불이 난 2층의 도면을 보면 완제품 검수·포장을 하는 작업장에서 1층으로 내려가기 위해선 화물용 승강기 옆 문을 통과해야 비상계단이 나옵니다.
하지만 승강기 앞에서 불이 시작돼 문까지 가는 길이 막힌 겁니다.
결국 사망자 23명 중 21명이 피하지 못하고 이 작업실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CCTV 화면 아래 화재지점 좌우로 빠져나가야 했지만 오히려 뒷걸음질 칠수 밖에 없었던 겁니다.
[조선호/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
"놀라서 안쪽으로 대피를 했습니다. 안쪽으로 대피를 하다 보니까 이쪽은 다 막혀있습니다. 이쪽 출입문 나와서 이쪽 비상구로 내려가든가, 이쪽으로 나와서 이쪽으로 가시든가 해야 되는데."
결국 공장 2층에 있었던 직원 52명 중 29명만 대피에 성공했고, 나머지 23명이 숨졌습니다.
일용직 외국인 노동자가 많았던 터라 대피로를 제대로 알고 있지 못했을 가능성도 큽니다.
[조선호/경기도 소방재난본부장]
"정규직 직원이 아니고 용역 회사에서 필요할 때 파견받아 쓰는 일용직 인부들이 대부분이고. 그러다 보니 공장 내부 구조에 익숙하지 않았던 것도 인명피해가 늘어난 요인이 되지 않았을까."
또 위험 물질을 취급하는 작업실의 대피경로가 사실상 하나뿐이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박재성/숭실사이버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피난하고자 하는 방향이 차단됐을 때, 최소한 한 군데 이상 피난 경로가 남아 있어야 된다라는 것이 피난 계획의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업체 측은 오늘 "외국인 근로자가 볼 수 있게 작업장 곳곳에 영어와 중국어로 된 비상 대피 메뉴얼을 배치했고 상시·지속적으로 교육도 실시했다"고 해명했습니다.
MBC뉴스 이문현입니다.
영상취재: 이주혁 / 영상편집: 허유빈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이주혁 / 영상편집: 허유빈
이문현 기자(lm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