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JTBC 뉴스룸 / 진행 : 안나경
■ 저작권은 JTBC 뉴스에 있습니다. 인용보도 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지난주 한강 작가를 비롯한 400여 명의 문인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을 촉구하면서 한 줄 성명을 발표했는데요. 이번 성명을 기획한 서효인 시인과 함께 이야기 더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서효인/시인 : 안녕하세요.]
[앵커]
나흘 만에 400명 넘는 작가들이 참여를 하셨는데 어떻게 처음에 시작하셨을까요.
[서효인/시인 : 12월 3일 이후에 매주 집회도 나가고 뉴스도 자주 보지만 뭘 할 수 있는지 자괴감도 들고 무력감이 들더라고요. 그랬던 중에 시인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우리가 글을 쓰는 사람이고 문인이니까 작가들의 한 줄 성명을 모아서 발표를 하면 그래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그게 아닐까 하는 생각에 시작하게 됐습니다.]
[앵커]
그런데 나흘 만에 400명 넘게 모였잖아요. 어떤 생각이 드셨을까요.
[서효인/시인 : 이게 어떤 단체가 모은 게 아니고 개인이 개인에게 연락하는 방식으로 폼을 공유해서 성명을 받은 거거든요. 그것이 이렇게 많이 참여하실 줄 몰랐는데 저도 놀랐어요, 금세 모여서. 그런데도 불구하고 연락을 못 받아서 참여하지 못해서 아쉽다고 표현해 주시는 작가들도 많아서 아쉽기도 하고 뿌듯하기도 하고 그렇습니다.]
[앵커]
그 보셨던 문장 중에 특히 좀 마음에 많이 남아 있는 문장이 따로 있을까요.
[서효인/시인 : 저는 아무래도 한강 작가의 문장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생명, 자유, 평화를 가치를 믿습니다. 파면은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입니다"라는 문장인데요. 이 보편적 가치라는 거에 대해서 저희가 자꾸 잊었던 것 같아요. 자꾸 좌우 대립처럼 생각하고 어떤 정치적 유불리로 판단을, 나도 저도 모르게 해 왔던 거예요. 사실 알고 보니 이건 보편적 가치를 지키는 일이구나라고 생각하니 어떤 저의 행동이나 마음도 조금 다잡아지는 그런 면이 있었던 것 같아요.]
[앵커]
한강 작가 같은 경우에는 사실 노벨문학상을 받으신 이후에 첫 대외 발언이기도 했잖아요. 이게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서효인/시인 : 다른 작가의 문장과 경중을 나눌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지만 제가 담백하게 메일을 보냈어요. 이런 걸 준비하고 있다고 알리는 차원에서. 사실 기대는 많이 안 했거든요. 작가에게 부담감이 있을 테니까. 그런데 너무 또 담백하게 답장이 왔더라고요.]
[앵커]
뭐라고 오셨나요.
[서효인/시인 : 참여했다 하고 다른 작가와 같은 방식으로 폼에 입력을 해 주셨어요. 그리고 문장도 마지막에 조사도 수정도 해 주고. 그래서 좀 놀랍고 부담이 있을 텐데도 불구하고 참여해 주셔서 감사한 마음이었죠.]
[앵커]
앞서도 잠깐 언급을 하시긴 했지만 매주 집회에 참여를 하셨다고 하셨고 한 사람의 문학인으로서 또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지금까지의 이런 과정을 좀 어떻게 지켜보고 계실까요?
[서효인/시인 : 비상계엄 초반에 이른바 응원봉 집회라고 해야 되나요? 빛의 혁명 때에는 우리가 연대하는 힘으로 이 난국을 돌파하고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 믿음은 지금도 유효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헌재의 선고가 늦어지고 그렇게 되니까 여러 명의 시민이 민의를 모으는 투표나 광장에서의 목소리가 아니라 소수의 엘리트의 해석에 따라서 이 시국이 달라질 수 있나 하는 불안감이 자꾸 들어요.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우리 시민 개개인의 영혼은 물론이고 대한민국 국가의 영혼이 잠식당하는 중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어서 빨리 현명한 판단을 내려주시길 촉구하는 바입니다.]
[앵커]
그 현장에서 접한 시민들의 목소리나 분위기는 직접 느끼시기에는 어땠습니까?
[서효인/시인 : 점점 더 비장해지고 있죠, 비장해지고 있고 날씨가 추웠잖아요, 이번 주에. 그런데 막 초등학생들도 데리고 나오시고 또 연령대도 다양해진 것 같아요. 어르신들도 나오시고. 또 반대하는 분들도 마찬가지예요. 그래서 우리가 이렇게 소모전을 벌여야 되나. 이 당연한 일, 자명한 일로 소모전을 별여야 하는 안타까움이 듭니다. 그리고 이 비장함이 어디로 흘러갈지 공포감도 있어요.]
[앵커]
끝으로 이번 성명을 통해서 헌재든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한마디 부탁드리겠습니다.
[서효인/시인 : 우리 국민이 헌법을 사랑하고 헌법을 신뢰하고 또 법을 지켜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면서 살 수 있도록 헌법을 수호해 주시길 그리고 헌법을 수호하는 길은 다들 아실 거라고 믿고요. 헌법을 수호해 주시길 간곡히 바라겠습니다.]
[앵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서효인 시인과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나경 앵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