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부동산 공시가도 시세변동만 반영…현실화율 동결
[앵커]
내년도 부동산 공시가격에는 시세 변동만 반영될 전망입니다.
정부가 내년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즉 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2년 연속 동결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정다미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 아파트 공시가격은 올해처럼 시세 대비 69%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지난 2020년 수준으로 3년째 고정해서입니다.
당초 정부는 문재인 정부에서 도입한 '공시가격 현실화 로드맵'을 폐기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연내 개정 법안 통과가 불투명해지자, 임시방편으로 현실화율을 2년 연속 동결하기로 했습니다.
"(공시가격) 합리화 방안 추진에 대한 (국회 논의가) 마무리될 때까지 공시 정책 변화를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갈 필요가 있겠다는 부분이 있어서, 2025년 목표 시세 반영률을 현 수준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제언합니다."
내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2020년 수준인 공동주택 69%, 단독주택 53.6%, 토지 65.5%로 적용될 전망입니다.
즉 내년 공시가격은 시세 변동만 반영해 움직이게 됩니다.
올해 집값 상승 폭이 컸던 서울 강남과 마포·용산·성동구의 경우, 내년 공시가격이 뛰면서 보유세 부담도 커질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부동산 유형별로 시세가 얼마 정도 반영될지는 상황마다 다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얼마나 공시가격이 변동될지는 실제로 조사가 다 완료돼야"
정부는 공청회 결과를 토대로 내년 공시가격에 적용할 조치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 (smjung@yna.co.kr)
#부동산 #공시지가 #시세변동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