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츌연: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전공 교수>
(앞서 보신 것처럼) 산불의 확산세가 심상치 않습니다. 인명피해까지 커지고 있는 상황인데요.
함은구 을지대 안전공학전공 교수 전화 연결해 어떤 점을 주의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1>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이 계속해서 확산중입니다. 산불 이동이 생각보다 더 빠른 것 같아요? 현재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2> 화마가 휩쓸고 간 자리에 희생자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인명 피해가 커지고 있는 이유는 어디에 있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2-1> 실내에서 화재가 났을때는 집기들을 태우면서 나오는 유독가스로 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산불 같은 경우도 마찬가진가요?
<질문3> 산불이 며칠째 계속되는 만큼 대기 중으로 퍼진 연기와 유해 물질 농도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런 부분에는 시민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질문4>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주민대피령이 내려진 지역도 늘고 있습니다. 주민 대피가 필요한 경우, 안전한 대피를 위한 요령이 있을까요?
<질문5> 현재 주불을 잡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람 때문이라고 봐야 할까요? 이런 자연조건 이외에 주불 진화가 더딘 이유는 또 어떤 게 있습니까?
<질문5-1> 지금 같은 상황이라면 완전 진화가 이뤄지기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질문6> 산불이 번진 일부 지역에는 전기와 통신이 끊긴 지역도 있는데요. 주민들의 불편은 물론 불안감도 클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사고 위험 방지를 위해 어떤 조치를 하면 좋을까요?
<질문7>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고 있는 소방대원과, 진화대원들 역시 걱정입니다. 소방대원이 어지럼증과 구토증세를 보여 병원으로 이송되기도 했고요. 산불 진화대원들이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요?
<질문8> 가용할 수 있는 자원에 한계가 있는 상황에서 산불이 계속 커지면서 현장에서 어려움이 클 것 같은데요. 어떤 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까요?
<질문9> 그런데 이번 산불이 유독 영남 남 지역에 집중돼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질문10> 앞으로의 산불 상황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일각에서는 장기화될 가능성을 고려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손성훈(sunghun906@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