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엠증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대대적인 관세 부과 정책이 전 세계 물가를 끌어올릴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기업들이 단기적으로는 가격을 유지하려 하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부담이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이웅찬 아이엠증권 연구원은 7일 발표한 '아반떼 5000만원, 아이폰 500만원' 보고서에서 "현대차와 미국 자동차 업체들이 당장은 가격을 동결하겠다고 밝혔지만, 조만간 인상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관세는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돼 소비 위축으로 이어지고, 기업 활동도 둔화될 것"이라며 "아이폰 가격이 500만 원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2일을 '자유의 날'로 선언하며 다수 국가에 대해 대규모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금융 시장은 방향성이 정해졌다는 점에서 일시적 안도감을 보였지만, 예상보다 큰 관세 폭에 급격히 반응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국에는 최대 54%의 관세가 부과됐고, 중국 정부는 즉각 보복 관세를 예고했습니다.
그러자 오늘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상호관세에 보복 관세로 대응한 중국에 50% 관세를 경고하고, 중국 이외의 다른 나라와는 즉각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원은 이번 조치가 미국의 경기 과열을 억제하고 금리를 낮추기 위한 의도라고 분석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관세는 동맹국과의 관계 악화를 초래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조기 레임덕 가능성도 키운다고 우려했습니다.
국내 경제 역시 타격이 불가피합니다.
특히 동남아에 생산 기지를 둔 수출 기업들이 관세 여파를 크게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증시 전망과 관련해 그는 "1분기 기술주 중심 조정 후, 2분기에는 관세 본격화와 경기 둔화로 하락이 예상된다"며 "하반기에는 연준의 금리 인하가 반등 요인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미국 증시의 고평가도 조정의 큰 원인"이라며 "투자 시점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