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공공기관 '낙하산' 인사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닌데요.
이들 산하의 자회사들까지 모기업 출신들이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심지어 일부 자회사는 대표 공모를 외부에 알리지 않고 모기업 내부에서만 진행했습니다.
유은총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기자】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로 콜센터와 텔레마케팅 서비스를 담당하는 한전 CSC.
지난해 3월 대표로 박 모 씨가 취임했습니다.
박 씨는 취임 전에 한전 전력솔루션본부장을 지냈습니다.
박 씨의 전임자 권 모 씨도 한전 경영지원처장을 지낸 모회사 출신, 이른바 '낙하산 인사'입니다.
산업부 산하 16개 공공기관은 경비, 청소, 시설관리 등을 맡은 20개 자회사를 거느리고 있는데,
이 가운데 산업단지공사 자회사인 키콕스파트너스를 제외한 코가스서비스얼라이언스와 지역난방플러스 주식회사 등 나머지 19곳 대표 모두 모회사 출신이었습니다.
지난 2018년부터 지난달 기준 자회사 19곳의 역대 대표 55명 가운데 모회사 출신 인사는 54명입니다.
퇴직을 일주일 남긴 모회사 간부가 자회사 대표로 자리를 옮기는 '회전문 인사'도 25명에 달했습니다.
강원랜드의 경우, 자사 직원을 자회사인 하이원파트너스에 대표로 보냈고, 비상임이사와 감사직을 모회사 직원이 겸직했습니다.
대표 공모 방식도 문제였습니다.
일부 자회사들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에 올리지 않고 내부 공모로 진행했습니다.
남동발전 자회사 코엔서비스는 대표 공모를 모회사 사내 게시판에만 올려 외부 지원을 조직적으로 막아왔습니다.
낙하산 대표들이 방만하게 회사를 운영한 사실도 추가로 드러났습니다.
한전FMS 등 2곳은 한전의 적자 전환으로 경영난을 겪은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대표의 성과금을 연봉의 100%로 책정해 2년간 총 4억 원가량을 챙겼습니다.
정부는 '바람직한 자회사 설립 운영 모델'을 제시했지만 강제력이 없어 유명무실한 실정입니다.
[이종배 / 국민의힘 의원: 공정한 공모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부처에 공공기관 출자회사 임원 공모 가이드라인 수립 등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하겠습니다.]
'자회사 낙하산 대표' 논란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모회사인 공기관에 책임이 있고, 대표 선임 절차는 기재부 지침을 따랐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OBS뉴스 유은총입니다.
[유은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