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얀마 강진 발생, 오늘로 닷새째입니다.
무너져 내린 도시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숨졌을지, 가늠하기도 어려운 상황인데요.
미얀마 현지에서 취재하고 있는 MBC 취재진은 수도 네피도에 도착했는데, 폐허가 된 도시의 풍경은 처참했습니다.
미얀마 현지에서 제은효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을 벗어나 진앙지에서 650킬로미터 떨어진 수도 네피도로 향했습니다.
북쪽을 향해가자 도로 상황은 나빠졌습니다.
도로 곳곳이 갈라졌고, 크게 뒤틀린 곳도 있습니다.
"137마일 이후로는 도로가 많이 부서져 있어요. 지진 때문에."
고속도로도 끊겨, 온전한 길을 찾아 오래된 국도를 돌아야 했습니다.
국도 옆 인도는 무너져서 징검다리처럼 변했고요. 가드레일도 넘어진 채 방치돼 있습니다. 국도는 틈이 너무 많아서 흙으로 덮어둔 상탭니다.
6시간 만에 네피도 지역 핀마나에 도착했습니다.
마을은 폐허가 되어 있었습니다.
무너진 벽돌이 곳곳에 무덤처럼 쌓여, 마치 거대한 폐기물장 같았습니다.
한 층이 통째로 사라진 건물은 위태롭게 기울어 있습니다.
전봇대도 부러졌습니다.
"전봇대가 꺾여버려서 전선이 제 키보다 낮게 걸려있고요. 바닥에 깔린 고압 전선 위를 차량들이 위태롭게 다니고 있습니다"
지진 당시 10여 명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은 한 상점에선 살아남은 사람들이 숨진 이들을 애도합니다.
[마웅치 /미얀마 핀마나 주민]
"저는 무너지는 사원에서 빠져 나오다 허리를 다쳤고, 이모 한 분은 안에서 숨졌습니다."
미얀마의 수도 네피도에는 우리 교민 50여 명이 살고 있습니다.
12년째 네피도에 살고 있는 교민 원용수 씨.
식사 중 지진이 일어났고, 식탁 밑에 웅크려 몸을 피했습니다.
집은 일부 파손됐지만 가족들은 모두 무사합니다.
가장 큰 문제는 식수입니다.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데, 오염이 우려되는 상황.
구조되지 못한 시신은 한낮 40도까지 오르는 무더위 속에 빠르게 부패되고 있습니다.
[원용수 /미얀마 네피도 교민]
"화장한 곳에 시신 한 구씩 넣어서 화장하기에는 작다 보니까, 지금 그렇게는 못하고 그 옆에 한꺼번에 모아서 이제 화장을 하고"
한국대사관은 교민 안전을 확인하고, 라면과 생수 등 구호 물자를 전달했습니다.
MBC 뉴스 제은효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제은효 기자(jenyo@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