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제거됐다는 평가가 나오자, 이제 정치권의 눈길은 다시 골목 민심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민생 회복을 위한 추경 논의가 공전하고 있는 상황인데, 조기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이 뜻을 모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이 내용은 문승욱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부터 탄핵까지, 장장 123일 동안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졌습니다.
<최상목/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지난 2월 11일)>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과제들이 추진 동력을 잃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되고 불확실성이 일부 제거됐다는 평가도 나오지만, 어떻게 민생과 경제를 회복해야 할지는 과제로 남았습니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여러 차례 실무회담을 통해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선 '추경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를 이뤄왔습니다.
<박성준/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지난 3월 18일)> "추경과 관련해서 정부가 (추경안을) 편성해서 협상할 수 있도록 여야가 요청하겠다는 걸 합의했습니다."
<박형수/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지난 3월 18일)> "여당에서 정부에 충분히 협의해서 추경안을 가능하면 이번 달 말까지 제출하도록 하겠다 그런 취지입니다."
다만 추경의 규모와 세부 내용을 두고선 입장차를 보였습니다.
민주당은 35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소비진작 4대 패키지'를 강조했습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1인당 25만원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하거나, 숙박과 관광 등 8대 분야에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식으로 소비 심리를 되살리자는 겁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필요한 곳에만 재정을 투입하는 '핀셋 지원'을 주장했습니다.
전국민이 아니라 영세 소상공인과 취약계층을 추경 지원 대상으로 한정하자는 겁니다.
가령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인당 100만 원 상당의 에너지공과금 바우처를 제공하거나,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한해 선불 카드를 지급하는 식입니다.
하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로 논의는 공전을 거듭해왔고 정부의 추경안 제출도 기약없이 미뤄졌습니다.
그러다 조기대선 날짜가 6월 3일로 확정되면서 양당 모두 추경을 다시 논의 테이블에 꺼내들었습니다.
본격 대선 레이스의 막이 오르면 추경 논의가 뒷전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지난 4월 8일)> "소비 진작 4대 패키지를 포함해서 과감한 재정지출을 담은 추경이 정말 시급합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지난 4월 8일)> "국민의힘은 4월 내 추경 통과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습니다."
다만, 양당이 예비비 증액과 개헌 등 정치적인 사안으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 논의가 또다시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정부가 다음 주 초 추경안을 내놓겠다고 밝힌 가운데, 양당이 모두 추경 편성의 주도권을 쥐려고 하는 상황이어서 이달 내로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승욱(winnerwook@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