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공군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된 보잉의 F-47
[로이터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U.S. Air Force graphic]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 잇따른 악재로 고전하던 미국 항공기 제작사 보잉이 한숨을 돌렸다. 미 공군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사업자로 선정된 데 이어 회사의 현금흐름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미국 폭스비즈니스는 보잉이 두 가지 좋은 소식으로 주가가 지난 5일 동안 10% 이상 상승했다고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공군의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사업은 록히드마틴의 F-22 랩터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보잉은 록히드마틴 등 경쟁업체를 제치고 낙점됐다. 록히드마틴 주가는 한 주 동안 5.7%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1일 선정 결과를 발표하면서 "F-47은 지금까지 만들어진 항공기 중 가장 발전되고 가장 강력하고, 가장 치명적인 항공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F-47의) 실험용 버전은 거의 5년 동안 비밀리에 비행해왔다"며 다른 어떤 나라의 항공기보다 훨씬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미 공군 차세대 최첨단 전투기 사업자 선정 결과 등을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보잉의 방위·우주·보안 부문을 이끄는 스티븐 파커는 "이번 임무를 준비하기 위해 (보잉의) 방위 사업 역사상 가장 중요한 투자를 단행했다"고 강조했다.
보잉은 그동안 F/A-18, F-15 이글,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에어포스원으로 유명한 747 개조 버전 등을 제작해왔다.
앞서 브라이언 웨스트 보잉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19일 투자자들에게 보잉의 현금 흐름이 개선되고 있다면서 "분기를 마감할 때 더 나아질 수 있고 수억 달러의 현금 흐름이 더 좋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보잉은 지난해 1월 알래스카 항공 소속 737 맥스9 여객기의 동체 일부가 비행 중 떨어져 나가는 등 잇따른 사고로 위기에 직면한 바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투기 등급으로의 강등을 막기 위해 약 240억 달러의 자금 조달에 나서기도 했다.
khmoo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