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오전 9시쯤 서울의 한 우리은행 지점을 찾은 20대 여성 A 씨.
어머니 사업 자금으로 급하게 사용해야 한다며 1천만 원짜리 수표 7장을 바꿔달라고 요청했습니다.
A 씨는 은행 직원이 자금 원천을 묻자 본인이 모은 돈과 대출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런데, 조회 과정에서 이상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우리은행 직원 : (집) 주소나 직장 확인하는 게 있는데, 전부 대구인 거예요. 자기앞수표나 현금으로 이렇게 많이 안 갖고 가시거 든요. 이런 부분도 좀 의심스러웠어요.]
본점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니 의구심은 더 커졌습니다.
전날 A 씨가 저축은행을 통해 받은 5천만 원의 대출금과 함께, 서울행 기차와 숙박업소 결제 내역 등이 추가로 파악된 겁니다.
[우리은행 직원 : (A 씨가) 계속 택시로 이동하고 이런 걸 보니까 최근 검찰 사칭 패턴으로 사기가 거의 확실하다….]
"범죄 사건에 연루됐으니 금융감독원으로 가야한다"는 보이스피싱 범들의 접촉은, 신고를 받은 경찰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도 이어졌습니다.
[우리은행 직원 : (A 씨) 어머니한테 계속 전화가 걸려오는 거예요. (사기 일당이) 전화번호 알려주면서 어머니로 저장하라고 했다 고 하더라고요. 어머니 사업 자금으로 필요하다고 말하라고….]
계속된 주의보 발령에도 불구하고 보이스피싱 피해는 늘고 있습니다.
지난 1월부터 5월 사이 A 씨와 같은 보이스피싱 피해는 8천434건, 피해 금액은 약 2천5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5%, 50% 늘었습니다.
금융 당국과 경찰 등 정부 합동 TF는 이달까지로 예정됐던 피싱 범죄 특별 단속 기간을 10월까지 연장하고, 대포폰 유통 차단 등 관련 대책도 강화할 방침입니다.
(취재 : 김덕현 / 영상편집 : 오영택 / 화면제공 : 우리은행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김덕현 기자 d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