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환율을 방어해야 할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환율이 오를수록 돈을 버는 미국채에 투자한 게 드러나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앞서 최 부총리는 경찰 조사에서 '외환 충격을 막기 위해 계엄에 반대하며 회의실을 박차고 나왔다'고 진술했었는데, 진정성이 있었느냐는 비판까지 나옵니다.
유선의 기자입니다.
[기자]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지난해 미국 30년 만기 국채에 2억원 가까이 투자한 사실이 알려진 뒤 야권에선 비난이 쏟아졌습니다.
국가 경제의 수장이 원화 가치가 떨어질수록 수익이 커지는 상품에 거액을 투자한 건 범죄라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이언주/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 환율 급등에 베팅한 행위는 공직자윤리법상 이해충돌 행위와 형사상 배임죄에 해당할 뿐 아니라 경제 내란이자 국민을 배신한 행위입니다.]
최 부총리는 앞서 2023년 국회 인사청문회 때도 1억 7천만원 가량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고 팔았는데, 그 이후 또 다시 미국 국채를 사들였던 겁니다.
12·3 내란사태 당시, 최 부총리는 외환시장을 챙기느라 윤석열 대통령이 준 '비상입법기구' 쪽지를 받은 사실도 잊고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24년 12월 / 국회) : 우리 외환시장도 열려있고 해외시장이 열려 있었기 때문에 저는 오로지 시장 상황, (비상계엄이) 대외적으로 발표가 됐으니까 시장 상황을 챙겨야 한다는 생각으로…]
경찰 조사에서도 계엄에 반대하면서 자리를 박차고 나왔다, 경제적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자신의 판단으로 F4 회의를 열었다고 진술했습니다.
내란 사태 이후 환율이 급등했을 때는 자신이 앞장서서 막고 있다고 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2024년 12월 / 국회) : 저희는 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한국은행과 정부가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어서…]
하지만 뒤에서는 환율이 오를수록 돈을 버는, 이른바 '강 달러' 상품에 투자를 해왔던 겁니다.
기획재정부는 최 부총리가 사들인 미국채에 대해 재산 등록 의무는 있지만 보유가 제한되는 건 아니라며 사실상 법을 어긴 건 아니라는 취지로 해명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영묵 박재현 / 영상편집 이지혜 / 영상디자인 고민재]
유선의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