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친윤 실세'로 불렸던 장제원 전 의원의 비서 성폭력 사건 피해자가, 어제 경찰에 나와 추가 진술을 했습니다.
◀ 앵커 ▶
경찰은 성폭력 당시 상황과 당시 공론화하지 못한 심경이 담긴 피해자의 3년 전 글도 확보했습니다.
공태현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장제원 전 의원의 성폭력 의혹을 수사중인 경찰은 피해자가 3년 전에 적어놓은 글을 증거로 확보했습니다.
약 4천8백자 가량의 글에는 성폭력 당시 상황과 심경, 장 전 의원의 행동까지 구체적으로 적혀있습니다.
피해자는 3차 술자리 후 호텔에서 성폭력을 당했다며, 다음 날 아침 호텔방에서 눈을 떴고, 수치스러워 화장실 가는 척 도망쳤다고 썼습니다.
지인에게 도움을 요청해 성폭력 상담기관인 해바라기 센터로 갔고, 경찰 신고도 했다며, 1주일 정도 출근을 안 하니 직장 상사, 즉 장 전 의원이 '내가 너무 들떠서 그랬다. 평생 갔으면 좋겠다'는 문자를 보냈다는 내용도 담겼습니다.
피해자를 장 전 의원이 집으로 불러 돈 봉투를 던져줬다며 내 얘기를 듣지 않고 돈만 받으면 괜찮은 건지 집 현관에서 30분을 고민했다는 심경도 담겼습니다.
장 전 의원은 약 10년 전 사건을 고소한 건 특별한 음모가 있는걸로 의심된다며 모든 내용은 거짓이라고 반박해 왔는데, 이미 3년 전에도 성폭력 사실을 적은 글이 확인된 겁니다.
글에는 피해를 숨길 수 밖에 없었던 심경도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믿고 따르던 상사에게 얘기했더니 참으라면서 시간이 지나면 무덤덤해 질거라 했다며, 당시 어렸고, 직장 생활을 계속해야 하는데 주변 사람들이 알게 되는게 수치스럽고 가족이 알게 되는 게 미안했다는 겁니다.
2018년 '미투'가 터졌을 당시 말하고 싶었지만, 무서운 마음에 참고 인내할 수 있을 것이라 스스로 다독였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우울증이 올 정도로 힘겨운 시간이 계속됐고, 올해 11월이면 공소 시효도 끝난다는 점이 고소를 결심하는 계기가 됐다는 게 피해자 측 입장입니다.
경찰은 어제 피해자를 불러 3년 전 글 등에 대해 추가 조사를 벌였습니다.
지난 28일 처음 경찰에 출석한 장 전 의원은 조사 과정에서 성폭력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으며, 피해자 글에 대한 입장을 물으려 했지만, 장 전 의원 측은 연락이 닿지 않았습니다.
경찰은 피해자 진술 등을 토대로 장 전 의원에 대해 추가 소환 조사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공태현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공태현 기자(kong@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