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아침 신문' 시작합니다.
◀ 앵커 ▶
10개월 넘게 이어진 의료공백으로 국민 4명 중 3명이 수술 지연 등 직간접적인 피해를 경험했다는 기사 먼저 보겠습니다.
◀ 앵커 ▶
동아일보입니다.
◀ 앵커 ▶
지난 21일부터 이틀간 18세 이상 남녀 1천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의료공백으로 피해나 불편을 겪었다'는 응답자는 23.5%, '가족, 친구 등 지인에게 피해나 불편 사례를 들었다'고 답한 비율은 51.1%로, 국민 4명 중 3명이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접했다고 답했는데요.
피해 사례는 '응급실 수용 지연'이 가장 많았고, 진료 지연, 수술 지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또 앞으로 본인에게 의료공백 피해가 닥칠까 우려하는 국민이 10명 중 8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탄핵 정국 속에서 의료공백이 내년에도 상당 기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장기간 의료공백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묻는 질문엔, '정부'가 37%, '의료계' 31%, '양쪽 다'라는 응답이 29%였는데요.
2026학년도 의대 모집에 대해서는 정부 발표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이 33%, 의사단체 주장대로 아예 선발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11.9%였고, 가장 많은 49%는 2025년보다 줄이되 일부 선발해야 한다는 절충안을 지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조선일보입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내란 혐의를 받는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아기 보살' 신당을 운영하면서, 무속인 '비단 아씨'를 수십 차례 방문해 점을 봤다는 의혹이 불거졌는데요.
이외에도 내란 사태 이후 천공, 건진 법사, 명태균 미륵 등 '무당 전성시대'라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노 전 사령관이 점을 봤다는 '비단 아씨'의 신당은 최근 상담 예약이 폭주하고 있다고 하고요.
또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를 예언했다는 무속 유튜버가 '인터넷 성지'로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적중을 하든 안 하든 일단 마구 만들어서 뿌린 다음 하나만 맞으면 대박인 구조"라고 전했습니다.
◀ 앵커 ▶
이어서 국민일보입니다.
12·3 내란 사태가 대학 수업의 풍경도 바꿔놓았는데요.
올해 2학기 기말 평가에서 지필 고사 대신 계엄 관련 과제물을 제출하는 식으로 시험 방식을 바꾸는 수업이 늘었습니다.
중앙대 류숙 교수는 '미래사회와 미디어' 과목 수업에서, 비상계엄 이후 사회 변화를 분석하는 과제물로 기말고사를 대체할 것을 제안했는데요.
수강생 80%가 찬성했고 학생들은 '수업 마지막까지 하나라도 더 배워가는 기분'이라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부산대에서도 지필 고사 준비를 위해 써야 할 시간을 '사회 공부'에 더 쏟으라며 과제물로 대체했는데요.
숙명여대의 한 수업에선 수강생이 "탄핵 촉구 시국선언에 참여하고 싶은데 강의 시간과 겹친다"고 하자, 교수는 아예 출석을 부르지 않겠다고 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역사를 영화나 책으로만 접한 학생들에게 비상계엄이 '생생한 민주주의 교과서'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국일보입니다.
올해 검거된 불법 딥페이크 가해자 10명 중 8명이 10대인 것으로 드러나자, 디지털 기기 사용을 제한하자는 방안이 나오고 있는데요.
더 근본적인 원인은 청소년들의 왜곡된 성인식에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10대 남성들 사이에서 상대 성을 조롱하고 비하하는 행태가 놀이 문화처럼 퍼지고 있는데요.
여자들이 마땅히 따라야 할 행동이라는 뜻의 '계집신조'라는 글이 SNS를 통해 많이 공유되고 있는데, '여자의 방은 주방이다', '여자는 남자가 부르면 3초 안에 대답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합니다.
또 게임 실력이 부족한 또래를 두고 "너 수진이니?" 등 여성 이름을 이용해 폄훼하는 은어도 흔히 사용된다고 하는데요.
심지어 성범죄나 일탈 사실을 고백하면 운영자가 장난스럽게 이를 용서하는 형식의 '고해성사' 계정도 인스타그램이나 엑스 등에서 흔히 발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초중고 가운데 64%가 토론 등 참여형 수업 같은 적극적인 성교육을 하지 않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 앵커 ▶
끝으로 지역 신문 기사 보겠습니다.
새전북신문입니다.
농업 외에도 여러 가지 부업을 하는 이른바 'N잡러' 농민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농업분야 지원 사업의 기준이 현실과 괴리감이 크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전북지역 평균 농가소득 5천여만 원 중 주업인 농업으로 벌어들인 농업소득은 1천만 원으로 20%에 불과한데요.
반대로 자영업이나 근로 수입 등 농업외 소득의 비중은 34%로,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농사만 지어선 농민들이 먹고 살기 힘들다는 건데, 농민공익수당 등 혜택을 받으려면 농업외 소득이 3천700만 원을 넘겨서는 안 됩니다.
이 제한 조건은 지난 2009년 이후 15년째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습니다.
지금까지 '오늘 아침 신문'이었습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