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이번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해 시작됐는데요.
그런데도 농촌에서는 여전히 불법 소각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집중단속에도 계속되고 있는 불법소각 현장을 윤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계룡산 국립공원 산자락에 있는 한 농촌 마을.
밭을 매는 주민 옆으로 흰 연기가 피어오릅니다.
지난해 농사를 짓고 남은 짚을 모아 태우는 중입니다.
[마을 주민 (음성변조)]
"지금 태웠어, 금방. 금방 내 사그라들어. 쓰레기통에 못 버려, 이건."
밭 곳곳엔 이미 여러 차례 불을 지핀 흔적이 선명합니다.
산불 감시원이 종종 마을을 순찰하지만, 빈틈을 노려 소각을 하는 겁니다.
[마을 주민 (음성변조)]
"(산불 감시원이) 뺑뺑 돌아다녀, 하지 말라고 하지. 근데 안 태울 수가 있어?"
인근 논두렁 곳곳에도 소각 흔적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산림과 가까운 논두렁이 불에 타 검게 그을려 있습니다.
자칫 불씨가 잘못 날렸으면 큰 산불로 이어질 뻔했습니다.
경북 북부 등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데도, 농사철이 다가오자 논·밭두렁을 태우고 있는 겁니다.
[마을 주민 (음성변조)]
"옛날부터 봄 되면 논두렁에 풀 나면 잡초 제거도 하고, 거기에 벌레 같은 거 생기면 그런 것도 잡고 그러려고…"
농촌진흥청이 매년 월동기 논두렁엔 해충보다 익충이 많고 소각을 통한 방제 효과가 크지 않다고 설명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심지어 나무가 빽빽한 산속에서도 영농 부산물을 태우고 있습니다.
파쇄하거나 외부로 반출하는 방법도 있지만 돈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소각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그럼 인건비 누가 대줄 거예요. 이거 농사지어서 인건비 나와요?"
며칠째 이어지는 강한 바람을 타고 불씨가 바로 뒤 산으로 날아갈 수 있는 데도 산불로 번질 일은 없다고 장담합니다.
[농민 (음성변조)]
"이 뒤에 (낙엽 등은) 다 긁어서 불이 날 수 없게 만들었잖아. 그러니까, 저런 거는 불이 안 나요, 금방."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하다 불이 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집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실화로 발생했습니다.
MBC뉴스 윤소영입니다.
영상취재: 신규호(대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신규호(대전)
윤소영 기자(sy@tj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