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이 결정되는 순간, 간절한 마음의 시민들은 환호와 벅찬 눈물을 쏟아냈습니다.
◀ 앵커 ▶
두 손을 모으고 선고를 지켜본 시민들은, 만장일치 파면은 당연한 결과라며, 이제야 편히 잘 수 있겠다고 안도했습니다.
정한솔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윤석열을 파면한다."
집회 현장이 축제 장소로 변했습니다.
"오늘이 오길 매일같이 달력을 보면서"
시민들은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함성을 질렀습니다.
태극기도 펼쳐 들었습니다.
"우리가 이겼다! 주권자가 승리했다!"
웃음과 눈물이 뒤범벅된 채 서로를 부둥켜안았습니다.
터져 나오는 환호 속에서도 흐르는 눈물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장희성]
"제가 '파면한다'는 이 한마디를 들으려고 이 힘든 고생을 했나 싶어서 눈물부터 나더라고요."
일상을 무너뜨린 비상계엄.
'헌법을 유린한 대통령은 파면해야 한다'는 당연한 결론인데도, 하루하루 애를 태워야 했습니다.
[심지윤]
"나름 되게 긴 시간이었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쨌든 이제 마무리가 됐고 오늘은 좀 편히 잘 수 있을 것 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다."
광장에서도 기차역에서도 학교에서도 만장일치 파면 선고가 나기까지 두 손을 모았습니다.
헌재가 '경고성 계엄'이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억지주장을 반박하고, 비상계엄 선포의 위헌성을 조목조목 지적할 때마다 탄성이 터졌습니다.
"경고성 또는 호소형 계엄이라는 피청구인의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이혜민]
"선고가 시작된 순간 머리가 하얘지더라고요. 윤석열의 궤변이 다 깨지는 걸 보고 안심이 되더라고요. 파면이 선고되니까 눈물이 나더라고요."
TV 앞에 모여 앉아 파면 선고를 지켜 본 시민들도 이제서야 한 숨 돌렸다며 내란 수사를 철저히 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권옥자]
"당연한 거죠. 인용이 돼서 국민들이 편하게 살아야 할 것 아니에요. 나라가 다 한국에서 갈라져 놓고 이게 뭐야."
[손정혜]
"이제 역사 속에서 계엄이라는 단어는 우리가 겪은 게 마지막이어야 하고요. 죄지은 자들은 다 감옥으로 가고 시민들은 다 일상으로 돌아가는 날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어제도 시민들은 헌재 앞에서 은박 담요를 깔고 밤을 지새웠습니다.
윤 대통령이 파면된 오늘을 시민들은, '함께 한 민주주의가 승리한 날'로 기억했습니다.
MBC뉴스 정한솔입니다.
영상취재 : 이상용, 윤병순, 강종수, 남현택, 독고명, 김창인 / 영상편집 : 배우진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 이상용, 윤병순, 강종수, 남현택, 독고명, 김창인 / 영상편집 : 배우진
정한솔 기자(soleye@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