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오늘 파면 결정에서도 드러났듯 실체적인 진실을 두고선, 처음부터 어떻게 피해갈 도리가 없다고 판단했던 걸까요?
윤 전 대통령 측은 국회의 소추부터, 헌재의 심리까지, 절차상 하자를 줄기차게 주장해왔습니다.
하지만 헌재는 이러한 주장을 하나하나 반박하며 절차 문제가 없었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송정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윤석열 전 대통령은 비상계엄이 통치 행위라 사법 심사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난해 12월 12일, 대국민담화)]
"비상계엄 선포권 행사는 사면권 행사, 외교권 행사와 같은 사법 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 통치 행위입니다."
하지만 헌재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계엄선포가 고도의 정치적 결단을 요하는 행위라 하더라도 그 헌법 및 법률 위반 여부를 심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탄핵심판의 가장 큰 쟁점 중 하나였던 이른바 '내란죄 철회' 논란.
윤 전 대통령 측이 이를 '각하' 근거로 삼아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지만, 재판부는 이 역시 문제가 안 된다고 했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기본적 사실관계는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적용법조문을 철회·변경하는 것은 소추사유의 철회·변경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특별한 절차를 거치지 않더라도 허용됩니다."
"탄핵소추 사유에 내란죄가 없었다면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했을 거"라는 윤 전 대통령 입장은 "가정적 주장"이라고 일축했습니다.
재판부는 "검찰 피의자신문조서를 탄핵심판의 증거로 채택해선 안 된다"는 윤 대통령 측 주장도 수용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이 대목에 있어서는 "탄핵심판 절차에서 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을 완화해 적용할 수 있다"는 의견, "탄핵심판 절차에서 앞으로 전문법칙을 보다 엄격하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보충의견이 엇갈려 제시되기도 했습니다.
재판부는 국회가 탄핵소추권을 남용했다는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문형배/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
"이 사건 탄핵소추안의 의결 과정이 적법하고, 피소추자의 헌법 또는 법률 위반이 일정 수준 이상 소명되었으므로 탄핵소추권이 남용되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부결된 탄핵소추안을 재발의해 일사부재의 원칙을 위반했다는 주장 역시"임시 국회 회기가 달랐다"는 이유를 들어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렸습니다.
다만 정형식 재판관은 "탄핵안 발의 횟수에는 제한이 필요하다"는 보충의견을 제시했습니다.
MBC뉴스 송정훈입니다.
영상편집: 민경태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편집: 민경태
송정훈 기자(junghun@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