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중부 민주 콩고 공화국의 코발트 광산 지대입니다.
코발트는 전기 자동차와 스마트폰 배터리의 핵심 광물로, 민주 콩고가 전 세계 생산량의 80%를 공급합니다.
민주 콩고는 구리도 세계에서 2번째로 많고, 금이나 다이아몬드 매장량도 상당합니다.
이렇다 보니 주요 광물 광산이 밀집한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내전이 끊이질 않습니다.
복잡한 종족갈등까지 겹치면서 이미 수만 명이 숨졌고, 100만 명이 고향을 떠나 난민 신세가 됐습니다.
[시쿠주아 비시무라 / 민주 콩고 난민 : 집에 돌아가게 해달라고 매일 기도하지만, 삶이 너무 고달프네요. 힘들어요.]
최근에는 르완다를 등에 업은 반군 M-23의 공격이 거세지면서, 민주 콩고 정부는 급기야 미국에 손을 내밀었습니다.
전쟁을 도와주면 코발트 같은 광물 자원을 주겠다고 제안하자, 그동안 뒷짐만 지고 있던 트럼프 대통령은 당장 사돈인 마사드 불로스를 특사로 파견했습니다.
[리노 은심바 / 민주 콩고 미 상공회의소 회장 : 미국은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는 거래라면 특히 그게 지역 안보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면 당연히 응할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향해서도 러시아와 휴전을 원한다면 광물 협정에 서명하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대가 없이는 돕지 않는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방침이라지만,
절박한 상황을 이용해 한몫 챙기겠다는 태도에 국제사회의 비판도 커지고 있습니다.
YTN 김선중입니다
영상편집 | 임현철
자막뉴스 | 김서영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