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쪽이나 저쪽이나 다를 것 없다는 식의 논리, '양비론'이라 부릅니다.
말 싸움에서 밀리지 않는 데에는 유용하지만, 심각한 오류에 빠뜨리는 논리입니다.
"폭도들이 잘못했지만, 경찰도 잘못이 있다"
어느 쪽 문제가 더 중대한가를 평가하지 않는, 기계적 중립은 도리어 편향이라는 결과를 낳습니다.
계엄 사태 뒤 53일.
정치권 일부와 광장 일각에서는 소재를 바꿔가며 국면마다 이런 식의 양비론을 부각합니다.
'피장파장의 논리'가 잠깐, 효과가 있을 진 모르겠으나, 머지 않아 '피장파장의 오류'에 부딪히게 된다는 것을 우리 사회의 집단지성이 늘 증명해왔습니다.
앵커 한마디였습니다.
오대영 앵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