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리튬전지 같은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은 화재 위험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번 화재가 난 공장은 '중점관리 대상'이 아니었습니다. 건물 규모가 기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인데요. 건물 규모만 따질 게 아니라 취급물질까지 총체적으로 고려해, 관리 규정을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강석 기자입니다.
[리포트]
폭발 화재로 건물 한 동이 쑥대밭이 된 아리셀 공장. 참사 이틀 전에도 불이 났지만 신고하지 않았습니다.
소방점검도 따로 받지 않습니다. 소화기와 자동화재탐지설비 등의 이상 여부를 자체 점검하고 결과만 보고하면 됩니다.
박순관 / 아리셀 대표
"리튬 전지의 위험성은 저희가 알고 있기 때문에 최대한 근접한 소화기를 여럿 비치하고 있었습니다."
반면 소방당국이 지정한 '화재안전 중점관리 대상'은 소방 특별조사나 점검을 받습니다.
하지만 아리셀은 대상이 아닙니다.
제조업체 지정 기준인 연면적 3만㎡에 못 미치기 때문인데 화재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영주 /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작업 공정의 위험성, 취급하는 물질의 위험성 이런 것들을 중심으로 판단을 해서 규모와 상관없이 관리가 되게끔…."
아리셀과 같은 일차전지 제조공장은 전국에 35곳에 이르지만 중점관리 대상으로 지정된 곳은 없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참사가 난 뒤 정부와 자치단체 등은 뒤늦게 합동점검을 벌이고 있습니다.
업체 관계자
"저희가 이제 위해화학물 사업장이라 환경청에서 나오고 또 소방서 소방은 뭐 다 관련되니까…."
점검대상은 2차전지 제조사까지 포함해 전국적으로 390곳에 이릅니다.
TV조선 강석입니다.
강석 기자(kangsuk0@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