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미국과 중국이 서로 '세자릿수'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유예기간, 대결보단 협상에 총력을 다할 방침인데요,
제조업 분야 협력이 협상 카드로 사용될 전망입니다.
김민아 기자입니다.
[ 기자 ]
상호 관세를 두고 으르렁 대던 미국과 중국.
미국의 145% 관세에 중국도 125% 관세로 맞불을 놓으면서 양국 간 관세 부과를 둘러싼 전쟁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도 관세 문제에 대한 중국 당국의 강경한 입장을 한글로 전파까지 했습니다.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의 관세 유예는 중국의 반격과 저지 덕분"이라고 주장한 것입니다.
이런 글과 함께 '미국'이라고 쓴 양이 '중국'이라고 쓴 양을 들이받았다가 뒤로 나가떨어지는 영상도 게재했습니다.
'적이 나를 공격하지 않으면 나도 공격하지 않으며, 만약 나를 공격하면 반드시 공격한다'는 중국 속담도 덧붙였습니다.
미국과 관세 전쟁에 돌입한 중국 정부의 강경한 대미 입장을 대변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중국이 유럽연합(EU)에 미국의 '괴롭힘'에 함께 맞서야한다고 연대를 촉구하면서 한국 정부의 대응 기조에도 관심이 쏠립니다.
일단 우리 정부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결보단 협상에 방점을 찍은 분위기입니다.
대미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구조 특성상, 미국과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낮추는 게 합리적이라는 판단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도 관세가 유예된 90일 간 "협상에 진전을 보이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고 최근 방미 후 귀국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 역시 협상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정인교/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한국하고 일본과의 협상을 가급적이면 원만하게 처리하고 싶은 의지를 갖고 있는 걸로 파악했습니다."
정부는 미국 측에 트럼프 관세 정책의 핵심 목표인 무역 적자 해소, 제조업 부활에 한국이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각인시키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선박 유지·보수·정비(MRO), 소형모듈원전(SMR) 협력 사업이나 알래스카 LNG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이 유력한 협력 분야로 거론됩니다.
상호관세 인하를 위한 각국의 대미 협상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정부는 관세 유예 기간 관세율 인하에 초점을 맞춰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설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관세전쟁 #다이빙대사 #도널드_트럼프 #고율관세 #관세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