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연 :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
트럼프 대통령이 쏘아 올린 관세 폭탄으로 전 세계 증시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당장 증시 폭락뿐 아니라 물가 급등과 경기침체 우려까지 제기되는데요.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맞불 관세를 예고한 중국에 50%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 위협했습니다.
관련 내용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1> 우선, 증시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 사건부터 짚어보죠,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가짜뉴스'에 미국 증시가 그야말로 롤러코스터를 탔죠?
<질문2>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대한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다만 다른 나라와는 협상을 즉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이처럼 중국을 정조준한 배경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3> 트럼프 관세전쟁에 미국 여당인 공화당에서도 우려가 나오고요. 미 전역은 반트럼프 시위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에 54%가 반대하는 상황인데요. 관세정책이 오히려 미국 기업에 피해를 준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질문4> 미국 증시 뿐 아니라, 중국 등 아시아 증시도 일제히 폭락했습니다. 트럼프 말 한마디 한마디에 전 세계가 휘청이는 상황인데요.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안팎의 우려에도 "약해지지 말고, 인내심을 가져야 한다"면서 "결과는 위대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대체 어떤 셈법인 걸까요?
<질문4-1> 이런 가운데 트럼프 정권 탄생의 일등 공신이죠.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이번 관세전쟁에는 불만을 표출했다고 하는데요. 미국과 유럽이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지대를 구축하기를 희망한다고 발언하기도 했고요. 이런 부분이 트럼프 발 관세정책에 변수가 될 수도 있을까요?
<질문5> 트럼프 대통령이 이렇게 앞으로도 꿈쩍하지 않고 관세 정책을 이어간다면 전 세계적으로 경기침체가 올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 경제 타격도 불가피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6> 이런 트럼프발 강경한 관세전쟁에 국내 증시도 파랗게 질렸습니다. 한때 매도 호가를 5분 동안 중단하는 '사이드카'까지 발동됐었는데요. 우리 시장의 충격파, 언제까지 지속될까요?
<질문7> 원화 가치도 주가만큼 출렁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하루 30원 넘게 급등했는데요. 하루 변동 폭으로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컸을 정돕니다. 반면 안전자산인 엔화 가치는 급등했는데요?
<질문8> 국내 증시뿐 아닙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던진 '관세 폭탄'에 일본과 중국, 홍콩, 타이완 증시 역시 주저앉았는데요. 상호관세 부과가 본격화하면 더 큰 충격이 예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의 기조대로 간다면 앞으로 시장 흐름 어떻게 예상하십니까?
<질문9>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상황인데요. 금융당국은 100조 원 규모의 시장 안정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고, 또 통상교섭본부장은 상호관세 협의를 위해서 미국을 방문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앞으로 어떻게 전략을 짜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민경(min1030@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