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권혁중 경제평론가>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
<질문 1>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상호관세로 인해 미국을 비롯한 세계 증시가 폭락했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증시는 물론이고 유럽증시까지 일제히 폭락했는데요. 코로나 이후 최악의 장세였다고요?
<질문 2> 어제 우리 증시는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될 정도로 급락했었는데요. 오늘은 좀 분위기가 어떻습니까?
<질문 2-1> 반면 지난밤 미국 뉴욕증시는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으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는데요. 미국 증시는 3일 연속 급락세를 이어갔죠?
<질문 3> 오늘 발표된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실적이 시장 예상치보다 높게 나온 것도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을 것 같은데요. 지금의 장중 회복세가 어느 정도까지 지속될까요?
<질문 3-1> 삼성전자의 1분기 실적 선방에는 갤럭시 S25시리즈 출시가 큰 역할을 했는데요. 문제는 갤럭시 스마트폰 전체 생산량의 약 50%가 베트남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건데, 베트남은 상호관세가 46%나 적용이 된다고요?
<질문 4> 원달러 환율도 1,470원대를 오르내리고 있는데요. 환율 계속 오르면 원화 가치가 떨어지니까 한국은행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데, 앞으로 원달러 환율, 어떻게 전망하세요?
<질문 5> 트럼프 대통령이 ‘맞불 관세’를 발표한 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요. 중국이 미국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한 것에 대한 보복 관세 발표였는데, 관세 치킨게임을 보고 있는 것 같단 생각이 들어요? 미중 무역 전쟁, 어디까지 갈거라 보세요?
<질문 6>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는 추가 관세 부과로 압박하는 동시에 중국 이외 다른 나라들과는 즉시 관세에 대한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세계 각국이 트럼프를 설득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섰습니다. 우리나라도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으로 날아가 협상에 돌입할 예정인데, 어떤 분야에서 협상을 시도할 거라 보세요?
<질문 6-1>트럼프 대통령의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인해 미국 자동차 산업의 ‘메카’인 미시간주에 벌써 타격을 입히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는데요. 미국의 제조업 심장부라 불리는 미시간주가 관세 정쟁의 첫 희생양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어제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를 일시 유예할 수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가 백악관이 가짜뉴스라고 반박하기도 했는데요. 상호관세 90일 유예 방안과 관련한 이야기가 국가경제위원장의 발언에서 시작이 됐다고 하는데,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인가요?
<질문 8> 지난해 말 비상계엄과 제주항공 참사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술자리마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작년 4분기 음식점 주류매입이 5%나 줄었다고 하는데, 현재 어느 정도로 상황이 안좋은 건가요?
<질문 9>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 속에서 최상목 기재부 장관이 다음주 초 10조원 규모의 추경안을 발표하겠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상호관세에 중국 등 보복관세까지 이어지면서 해외 기관에서는 한국의 올해 경제 성장률을 0%대로 전망하는 곳도 늘었는데요. 정부의 이번 추경안 발표가 실물 경제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댓글 블라인드 기능으로 악성댓글을 가려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