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뇌전증 환자들 사이에서 기적의 약이라고 불리는 치료 약이 있지만 일반 환자들은 좀처럼 복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약물을 복용한 뒤 발작 빈도가 50% 이상 줄어들지 않으면 보험 적용에서 제외하는 까다로운 건강보험 급여 기준 탓입니다.
윤성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A 씨의 딸은 뇌전증 환자입니다.
첫돌이 되기 전 진단을 받았고, 22살이 된 지금도 이틀에 한 번꼴로 발작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2년 전, 에피디올렉스라는 약을 만나며 희망이 찾아오나 싶었던 순간도 있었습니다.
[A 씨 / 뇌전증 환자 부모 : 현대의학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은 시행했으나 뇌전증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는데 (2021년) 5월 3일부터 에피디올렉스를 복용하고 기적적으로 뇌전증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어요.]
그러다 약물 복용 7개월 차부터 발작이 다시 잦아졌지만, 복용량을 늘려 보자는 의사의 권유는 눈물을 머금고 뿌리칠 수밖에 없었습니다.
치료가 어려운 뇌전증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에피디올렉스는 효과가 좋은 대신, 일반적으로 한 달 약값이 백만 원대를 훌쩍 넘길 정도로 비싼 치료제인데, A 씨의 딸은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서 제외됐기 때문입니다.
발작 빈도가 최초 투약 시점보다 절반 아래로 줄어들지 않으면, 건강보험을 적용받지 못하게 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기준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한 달에 10차례 발작했던 환자가 에피디올렉스를 복용한 뒤 발작 횟수가 4번으로 감소하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6번으로 줄면 받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A 씨 / 뇌전증 환자 부모 : 에피디올렉스 고시 기준에 50%의 경련 횟수가 늘어나면 급여가 안 된다는 말도 안 되는 기준에 저희가 걸린 것이죠. 2병을 했을 때 매달 220만 원이라는 큰 금액을 지불을 하고 먹어야 되는 상황이죠.]
때문에, 발작 횟수의 증감률을 획일적으로 따지기보다는 환자의 상태를 고려해, 기준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흥동 / 연세대 의대 소아신경과 교수·뇌전증협회장 : 의식 장애가 올 수 있는 발작을 적어도 네 차례 이상 하는 정도의 발작이라면 그런 상태에서는 반드시 이 약을 사용하는 게 필요하다 그런 기준도 바뀌어야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에피디올렉스를 최초로 사용할 수 있는 문턱을 낮춰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현재는 다섯 종류 넘는 약물을 써보고도 발작 빈도가 50% 이상 줄어들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만 건강보험 적용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소아 청소년은 한 차례 발작에도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만큼, 두세 종류 약물을 복용해도 효과가 없다면 서둘러 에피디올렉스로 넘어갈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김흥동 / 연세대 의대 소아신경과 교수·한국뇌전증협회장 : 5가지 약을 사용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리고 그런 시간 동안 아이들의 지적 능력은 점점 퇴행하기 때문에, 그리고 한번 퇴행한 지적 능력은 다시 돌아오기 어려워서.]
효과 좋은 약물이 있어도 까다로운 건강보험 기준에 막혀 복용할 엄두조차 못 내는 상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새로운 임상적 근거가 보완되면 급여기준 변경을 검토할 예정이라면서 현재로서는 확인된 게 없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습니다.
YTN 윤성훈입니다.
YTN 윤성훈 (ysh0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