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만 골라내는 '탄소 포집 기술'이 중요하다고 어제(28일) 전해드렸습니다. 이렇게 탄소를 모은 뒤에는 따로 영구 격리시키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 저장 과정이 여러모로 중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바닷속에 저장하는 걸 시도하고 있는데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울산에서 동해바다로 60km를 날아가자 천연가스 채굴 시설이 나타납니다.
18년간 사용한 뒤 가스가 고갈돼 지난해 멈춰선 동해 가스전, 앞으로 탄소 저장 시설로 바꾸는 작업이 추진됩니다.
원래는 바닷속에서 끌어올린 천연가스를 파이프로 육지까지 옮겨왔는데 탄소 저장은 반대로 이루어집니다.
저기 보이는 금속관이 해저 2.5km에서 천연가스를 퍼 올리던 관인데 정반대로 이산화탄소를 저 금속관에 주입해서 해저에 넣고 격리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천연가스가 빠져나간 암반 속 빈 공간에 탄소 포집으로 모은 이산화탄소를 묻는 겁니다.
민관 공동으로 1조 원을 투입해 앞으로 30년간 1,200만 톤을 저장할 계획입니다.
[권이균/동해가스전 K-CCUS 추진단장 : 포집을 통해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여야만 이론적으로 실질적으로 탄소중립이 실현되기 때문에 (CCUS는 반드시 필요한 기술입니다.)]
국제적으로 탄소 1톤당 포집 해저 저작 비용은 100~120달러 수준으로 평가됩니다.
그런데 지난달 유럽 내 탄소배출권 가격이 100유로를 돌파하면서 점차 경제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배출권을 사는 대신에 탄소 저장 업체에 맡겨 바닷속에 묻는 선택지가 생긴 겁니다.
[윤여일/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사 : (탄소 포집 기술)은 이미 상용화 준비가 다 끝난 상태고, 저장 기술이 어느 정도 완비가 CCS라는 신산업이 아마 새로 창출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현재 국내 탄소 배출권 가격은 유럽의 5분의 1에 불과하지만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흐름상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어 국내에서도 해저 저장 시도가 더욱 늘어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강동철·김세경, 영상편집 : 김호진, CG : 최재영·이재준)
▶ 바닷속에 묻은 탄소, 유출 우려?…찬반도 엇갈린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ja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