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대근 앵커, 안보라 앵커
■ 전화연결 : 김진수 YTN 백령도 통신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북한에서 위성으로 추정되는 발사체가 발사되면서 서해 백령도·대청도 지역에는 경계경보가 한때 내려졌는데, 지금은 해제된 상황입니다. 꼭두새벽부터 대피방송이나오면서, 현장에 있는 주민들은 대피소로 이동하기도 했는데요. 백령도 지역에 있는YTN 통신원 연결해, 지금 현장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통신원님, 나와 계십니까?
[김진수]
네, 백령도입니다.
[앵커]
새벽부터 대피방송 나와서 잠을 못 주무셨을 것 같아요. 지금은 어떤 상황인가요?
[김진수]
지금은 8시에 해제가 됐고요. 지금 일상생활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러면 통신원님께서는 새벽에 대피경보가 내려지고 나서 대피소로 이동을 했다가 발령이 해제되고 나서 대피소를 나오신 겁니까?
[김진수]
그렇죠.
[앵커]
지금 저희가 영상을 보여드리고 있는데 지금 주민분들이 지하로 통하는 문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보이거든요. 지금 들어가고 계신 곳이 대피소라고 보면 되는 건가요?
[김진수]
네, 대피소입니다. 다 지하로 돼 있으니까요.
[앵커]
경보방송이 나오고 주민분들은 지하에 있는 대피소로 이동을 했다가 지금은 모두 일상으로 복귀한 그런 상황인 거군요?
[김진수]
그렇습니다.
[앵커]
대피소도 관리하시는 분들이 있으실 텐데 군 관련자라든지 아니면 면에서 관리하시면서 대피 경보가 울렸을 때 대피소 문이 평소에는 닫혀있다가 경보가 울렸을 때 열린 거죠?
[김진수]
그렇습니다. 면사무소 직원들이 문을 열든가 아니면 마을 이장님들이요. 이장님들이 문을 열고 그런 상황이거든요.
[앵커]
앞서서도 대피소로 이동하는 훈련을 최근에 하셨던 그런 상황인가요?
[김진수]
그렇습니다.
[앵커]
그게 북한이 앞서서 위성을 발사하겠다, 이렇게 예고를 한 이후에 훈련이 이루어졌던 상황입니까?
[김진수]
네, 수시로 면사무소에서 와서 점검을 계속하더라고요. 대피소를요.
[앵커]
최근에 그렇게 여러 차례 대피소로 이동하는 훈련을 해왔다는 말씀이신 거죠?
[김진수]
네, 관리도 면사무소에서 수시로 문 열어보고 시설 점검도 하고 계속 그러더라고요.
[앵커]
그러면 통신원님께서 해제령이 발령되기 전까지 대피소에 계실 때는 몇 분 정도가 같이 대피를 하셨던 상황이었어요?
[김진수]
저는 여객터미널 쪽에 나가 있다가요. 거기는 마을하고 따로 떨어져 있거든요. 그래서 그때 여객 손님들이 약간 대피해 있다가 일부는 대피했다가 여객선 출항 시간에 바로 나갔어요. 여객선은 나가버리고, 여객선은 정상으로 운항을 했고요.
일부 관리하는 분들, 여객터미널 관리하는 분들하고 해경분들이 대피를 하고 있었죠.
[앵커]
통신원님, 여객선이 출항했다고 했는데 그 대피령이 내려졌을 때는 여객도 통제되는 것 아니었습니까?
[김진수]
그때는 7시 출발을 했거든요.
[앵커]
그때 출발을 했던 건가요? 여객선이?
[김진수]
여객선이 잠깐 기다렸다가 바로 출발했어요.
[앵커]
7시쯤에 출항한 건가요?
[김진수]
네, 여객선은 7시에 출항했고요. 그때 벌써 이상징후를 봤는지 어땠는지 몰라도 조금 일부 사람들은 들어가 있더라고요.
지하로 바로 돼 있거든요. 여객터미널 안이.
[앵커]
경보가 발령됐을 당시 상황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사이렌 소리가 굉장히 크게 들리더라고요.
당시에 경보 안내방송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진 건가요?
[김진수]
처음에는 주민들은 그냥 훈련인 줄 알았어요. 실제상황을 방송을 안 하고 사이렌만 울리고 경계방송한다고 재난안전본부에서 방송을 하더라고요. 재차 면사무소에서 다른 라인이 또 있거든요. 방송 라인이. 그 라인으로 면사무소에서 실제 상황이라고 방송이 또 나가더라고요. [앵커] 그렇다면 평상시에도 종종 훈련이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훈련인 줄 알았다가 다른 채널을 통해서 이거 실제 상황이다라는 얘기를 듣고 대피를 하셨다는 말씀이신데 백령도는 그러면 마을마다 초소가 있잖아요. 그러니까 실제 상황이다라는 알림이 울리고 난 후에 군인들의 움직임이라든지 이런 변화도 있었습니까? 훈련 상황 때와는 좀 다르게.
[김진수]
군인들은 변화는 없었고요. 군인들은 변화가 없더라고요. 방송을 갑자기 하는 바람에 뭔가 했고, 주민들은. 그리고 실제상황이라고 해서 그때 느꼈죠.
[앵커]
주민분들도 굉장히 당혹스러운 상황이셨을 것 같은데.
[김진수]
그렇죠. 뭔가 뭔가 했죠.
[앵커]
서울 같은 경우에는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 경보 안내가 전달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게 오발령된 것으로 나중에 정정이 되기는 했습니다마는 백령도에서도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통해서 안내 메시지가 전달이 됐나요?
[김진수]
네, 행안부 쪽에서 주민들한테 다 문자가 날아와요. 날아오고 또 해경 쪽에서는 어민들 바다 나가 있잖아요. 어업 활동하는 어민들한테 문자가 가고. 그래서 다 알고 있었죠.
[앵커]
8시 1분에 경보가 발령이 해제되고 정상 업무에 복귀해도 된다라는 알림이 온 후에 지금 학생들도 등교시간일 것 같고 직장인분들도 일터로 나가실 시간이긴 한데요. 등교 움직임이라든가 백령도의 일상생활은 변함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학생들이 혹시 동요하거나 이런 상황은 아닐까요?
[김진수]
그런 건 없고요. 일상생활을 그냥 하고 있죠.
[앵커]
대피령이 발령이 되고 대피소로 이동할 때 혹시 어르신들 같은 경우에 불편한 점은 없으셨는지, 그리고 대피소로 이동하실 때는 생필품 같은 것도 챙겨서 가셨는지, 혹은 대피소에 최근 상황을 고려해서 준비된 것들이 있었는지도 궁금한데요.
[김진수]
대피소에는 지금 비상식량, 생필품들이 다 비치돼 있습니다. 그래서 몇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고 며칠간 사용할 수 있는 비상식량이나 모든 게 갖춰져 있으니까 몸만 대피하시면 됩니다.
[앵커]
어르신들 같은 경우에는 불편해하시는 분들은 안 계셨습니까?
[김진수]
아무래도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은 있죠. 노약자분들도 계시니까. 이웃들이 같이 도와가면서 다 이렇게 대피한 거죠.
[앵커]
지금 군에서 서북도서 방어훈련에 돌입한 상태입니다. 백령도, 연평도 등을 중심으로 훈련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 훈련 같은 경우는 2017년 이후에 열리지 않다가 6년 만에 재개한 상황이거든요. 이와 관련해서 어제 면사무소에서 관련한 안내도 있었다고 하는데 이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 동안 주민들이 혹시 어떻게 대비를 하셔라, 언제부터 언제까지 훈련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렇게 자세한 안내를 받으신 게 있습니까?
[김진수]
네, 문자로 다 받았습니다. 면사무소에서요.
[앵커]
주민들이 어떻게 하면 좋겠다고 행동요령 같은 것들도 안내가 되어 있는 건가요?
[김진수]
자세하게 돼 있죠, 안내문자가요. 언제부터 언제까지 하고 몇 시부터 몇 시까지 하는 것까지 다 그렇게 사전에 사격 훈련을 해도 문자가 다 옵니다.
[앵커]
이제 경보가 해제가 되고 일상으로 복귀를 하신 상황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안감을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 혹시나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혹시 경보가 울리면 다시 대피를 하라든가 대비하라는 안내도 있었습니까?
[김진수]
아직은 그건 없었습니다.
[앵커]
추가적인 안내는 아직 없었군요. 그렇지만 혹시라도 또 경보 방송이 울릴까 봐 불안해하시는 주민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 어떻습니까?
[김진수]
주민들은 대피소에서 모여 있을 때 그런 얘기들 하고 있죠. 위성발사체가 날아가다가 백령도나 대청도 상공으로 날아가다가 떨어질까 봐 그게 걱정된 거죠.
[앵커]
알겠습니다. 우리 군 당국에서도 지금 북한 우주발사체가 발사에 성공했는지 혹은 공중에서 폭발했는지, 어디로 떨어지는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조사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백령도, 대청도 지역에 경계경보가 한때 내려졌다가 지금 해제된 상황인데 당시 상황은 어땠는지 현지에 있는 YTN 통신원 연결해서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김진수 YTN 백령도 통신원이었습니다. 연결 감사합니다.
[김진수]
감사합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