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행 : 김대근 앵커, 안보라 앵커
■ 출연 : 김문경 기자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북한의 우주발사체 발사와 관련한 상황, 김문경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일단 지금 나온 소식부터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합참에서 발표한 내용을 보면 북한의 발사체가 어청도 서방 200여 킬로미터 해상에 낙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얘기한 게 비정상적인 비행으로 낙하했다.
그래서 한미가 공조해서 추가적인 분석 중에 있다고 밝힌 상황인데 그렇다면 일단 북한에서는 위성을 발사하겠다, 이렇게 예고를 했던 상황이고 합참에서도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발표를 했었는데 이게 실패했다, 이렇게 결론을 내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까?
[기자]
합참에서 발표를 한 것은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밝힌 게 아니라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다, 이렇게 얘기를 했거든요. 말씀하신 대로 이번 발사는 합참의 정보에 의하면 실패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왜냐하면 조금 아까 말씀하신 대로 어청도 앞바다 200여 킬로미터해상에서 이게 레이더에서 사라졌는데 비정상적으로 낙하했다라고 한미 정보당국이 판단을 한 것 같습니다. 그로 미뤄서 이번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실패한 게 아니냐, 이렇게 정할 수 있겠습니다.
[앵커]
지금 전해 드린 게 어청도 서방 200여 킬로미터 해상에서 떨어졌다. 합참이 이렇게 밝혔고요. 이 지역이 앞서서 북한이 1단 로켓 낙하 지점으로 얘기했던 전북 군산 쪽에서 서해 먼 지역, 여기와 가까운 지역인 것으로 추정이 되거든요. 그러면 그 해상에서 비행을 하다가 추락한 것으로, 분리되지 않고 추락한 것으로 이렇게 추정을 해 볼 수 있는 그런 상황이겠군요?
[기자]
1단 추진체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폭발하면서 추락을 했는지, 아니면 분리되지 못한 상황에서 작동이 정지되면서 추락했는지 이건 좀 더 확인을 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지금 상황으로 보면 비정상적으로 낙하한 것이 확인된 만큼 공중에서 무슨 이상 징후가 있었지 않았겠느냐. 이런 것들을 우리 정보 당국이 또 캐치하지 않았겠느냐 이런 예상을 해 볼 수 있겠거든요. 그래서 추후 합참의 발표 과정을 좀 더 지켜본 다음에 판단해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북한에서 발표한 내용이 있어서 전해드리겠습니다.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에 사고가 발생했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빠른 시간 내에 2차 발사를 하겠다, 이런 발표도 있었고요. 또 2단 엔진 시동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져서 추진력을 상실했다, 이런 취지의 발표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발사체가 서해에 추락했다, 이런 내용을 조금 전에 북한이 발표를 했습니다. 그러니까 북한도 지금 실패를 인정한 그런 상황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이게 북한 조선중앙통신인지 아니면 노동신문인지 조선중앙TV인지 어떤 매체에서 저 얘기를 했는지 좀 더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마는 북한 주민들이 모두 보는 노동신문이나 조선중앙TV에서 했다면 북한도 이번 발사에 대해서 뭔가 심각한 상황임을 생각하고 얘기를 한 것 같은데 만약에 대외적으로만 발표를 하는 중앙통신이라든가 아니면 다른 대외 매체들을 통해서 발표했다면 아마 국제적으로 우주발사체를 발사하기 전에 국제해사기구에 통보의 하지 않았겠습니까? 그에 맞춰서 아마 저런 발표를 한 것 같다, 이렇게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앵커]
지금 스튜디오 밖에서 전해 주는 소식을 들어보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서 발표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어떤 의미가 있는 겁니까?
[기자]
그렇다면 국제기구를 통해서 이번 발사 실패에 따른 내용들을 통보할 그런 의무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추정을 해볼 수 있겠거든요. 아마 북한 내부 주민들한테는 저 사실을 알리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이번 발사에 대해서 큰 의미를 둬왔기 때문에 발사 실패에 대해서는 북한 주민들한테 통지를 안 하고 국제해사기구 등 국제기구를 통해서 이번 발사 실패에 따른 내용들을 전한 게 아닌가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
[앵커]
앞서서 합참에서도 발표할 때 북한이 주장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 이렇게 발표를 했다고 설명해 주셨는데 그렇다면 합참 같은 경우에도 지금 북한이 발사한 게 우주발사체인지, 위성이 실려있는지 이게 ICBM인지 이런 부분은 아직까지는 구분이 명확하게는 안 되는 겁니까?
[기자]
이것을 ICBM이다, 아니면 우주발사체다, 이렇게 판단할 근거가 저는 2017년 전과 후로 나뉜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거든요. 왜냐하면 2017년 전에는 북한이 광명성, 우주발사체를 쏠 때마다 얘기했던 게 자기들은 지구 관측 위성이다, 내지는 우주발사체다, 아니면 위성발사체다 이런 표현들을 해왔단 말이죠. 그런데 국제사회는 이 우주발사체에 대해서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발사는 모두 금지한다, 이런 결의를 했었단 말이죠.
그런데 2017년 이후부터는 중장거리 미사일을 연이어 발사를 합니다. 그러니까 그 이후부터는 또 우주발사체를 발사를 하지 않아요. 이번에 7년여 만에 다시 발사한 거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런 점에서 봤을 때 2017년 이후에는 ICBM 성격의 미사일이 따로 있고 지금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이건 어떻게 보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한 것이기는 하지만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쏘아올린 게 아니냐, 이렇게 판단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지금 북한 조선중앙통신을 통해서 발표한 내용이 전해졌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형 발동기 체계의 믿음성과 안정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연료의 특성이 불안정한 데 사고의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고 과학자, 기술자, 전문가들이 구체적인 원인 해명에 착수한다, 이렇게 밝혔고요. 또 국가우주개발국은 위성 발사에서 나타난 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해 해명하고 여러 가지 구분 시험들을 거쳐서 가급적 빠른 기간 안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하겠다, 이렇게 밝혔습니다. 이 같은 북한의 발표 내용이 조금 전에 전해졌고요.
그러면 북한도 이번에 우주발사체를 발사했고 이게 실패했다라고 공식적으로 인정을 한 상황인데 앞서서 2016년 2월에 광명성호 발사가 있지 않았습니까? 이때도 위성 발사다, 이렇게 주장을 했던 거죠. 이때는 상황이 어땠습니까? 북한은 이 당시에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는 상황인가요?
[기자]
발사 성공은 맞고요. 다만 우주발사체에 실린 위성, 그러니까 광명성 4호죠. 이 위성이 정상 작동했느냐, 그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앵커]
북한이 주장이 그렇다는 말씀이시죠.
[기자]
그렇죠.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이 지금 북한이 발사한 그 우주발사체에 실린 위성체가 깡통 위성이다, 이런 판단을 내리고 있거든요. 왜냐하면 올리긴 올렸는데 신호가 돌아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확인을 할 수가 없고요. 그래서 발사는 성공했지만 위성 발사는 실패했다, 이렇게 얘기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기억을 더듬어보면 최근에 북한이 위성사진을 공개하지 않았습니까? 좀 흐릿한 그런 위성 사진을 북한이 공개를 해서 그것도 북한의 위성에서 촬영을 한 건지. 이것은 뭔가요?
[기자]
미사일을 쏠 때 ICBM을 쏠 때, 작년 12월에도 그랬고요. 올해도 아마 그런 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서울 지도 사진을 흐릿하게 보여주기도 했고 그다음에 ICBM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서 지구를 찍은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거든요. 이런 것들이 자기들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사진들을 좀 더 세밀화한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런 준비 단계의 작업을 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보여주려고 찍은 거죠. 그 자체가 위성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니까 미사일에 달린 카메라를 이용해서 올라가면서 찍은 사진을 공개했을 뿐이지 거기에 달린 거기에 위성을 넣었거나 위성을 쏘아 올렸거나 이런 것은 아니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본인들이 미사일을 시험발사하면서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어떤 선전용으로 그런 위성 사진을.
[기자]
준비작업의 일환이었다, 이렇게 평가가 됐습니다.
[앵커]
북한이 지난달에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발사했죠. ICBM 화성-18형을 발사했는데 이 이후에 40여 일 만에 우주발사체라면서 또 발사체를 발사한 상황입니다. 그리고 또 돌아보면 2월과 3월에 유독 북한의 도발 소식을 자주 전해드렸던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 이때와 지금은 좀 상황이 다른 겁니까?
[기자]
그 연장선상에 있다고 봐야 됩니다. 왜냐하면 우주발사체라고 하는 것, 이게 군사정찰위성 1호라고 얘기를 하고 있지 않습니까? 군사정찰위성이 언제 개발을 하겠다고 얘기했냐 하면 2021년도 8차 노동당 대회에서 국방개발계획 5개년계획에서 포함된 군사무기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니까 ICBM도 있었고요. 추가 핵실험도 언급이 됐었고요. 그다음에 최근에 핵 어뢰, 무인 잠수정, 이런 것들도 등장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니까 다양한 수단을 개발 중에 있는 상황에서 군사정찰위성도 마찬가지로 지금 확보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개발을 해 나가고 있다. 그런 면에서 봤을 때 이번 1차 발사 시험 실패가 북한에서는 그 과정의 일환으로 아마 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ICBM을 또 시험발사하면서 동시에 군사정찰위성을 확보하기 위한 발사체 발사를 추가적으로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인 거군요?
[기자]
ICBM은 또 ICBM 따로 가고요. 군사정찰위성은 또 목적이 분명하지 않습니까? 정찰위성이라는 게. 그러니까 거기에 맞는 목적 수단을 개발하기 위해서 위성 발사를 계속해서 앞으로 해 나갈 것이다, 이렇게 예상이 됩니다.
[앵커]
오전 9시부터 NSC가 개최가 됐습니다. 안보 상황 점검회의는 종료가 됐고요. 안보실장 주재로 NSC 회의가 개최됐다는 소식 조금 전에 들어왔습니다. 지금 우리 군 당국도 이게 얼마나 날아갔는지, 어디로 날아갔는지, 실제로 떨어진 건지,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명확하게 확인을 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고 지금 대통령실에서도 이 상황에 대해서 파악을 하고 있는 그런 상황이라고 설명을 드릴 수 있겠습니다.
애초에 북한에서는 예고하기를 오늘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에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예고를 했고요. 그리고 리병철 당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같은 경우에는 6월에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발사하겠다, 이렇게 얘기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리병철 부위원장 얘기를 들어보면 6월에 발사를 할 것 같은 그런 생각이 들기도 했는데 이거 생각보다 좀 빨리 발사한 건가요?
[기자]
지금 기준에서 보면 좀 빨리 발사한 건데 2016년도에도 이렇게 공개를 해놓고 바로 발사를 한 전례가 있거든요. 그리고 북한이 계획했던 게 작년 12월에 올해 4월에 발사하겠다, 군사정찰위성을. 이렇게 예고의 했었어요.
그런 점을 비춰보면 한 달가량 늦춰진 것으로도 볼 수가 있겠죠. 그러니까 이 정찰위성이라든가 ICBM이라든지 아니면 단거리탄도미사일이라든가 여러 가지 무기 수단을 개발할 때 자기들 개발 계획에 맞는 일정에 따라서 발사를 하거나 시험발사를 하거나 이럴 뿐이지,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기준에 따라서 북한은 절대 움직이지 않는다, 이렇게 판단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최근에 한미 정상회담이 있거나 한일 정상회담이 있거나 이런 상황에서는 사실 북한의 도발이 잠잠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다가 갑자기 이렇게 위성을 발사하겠다고 나서면서 예고했던 것보다 생각보다 일찍 발사한 것 같은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이런 북한의 속내는 어떻게 해석해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북한 입장에서는 과연 언제 발사하는 게 자기들한테 가장 적절할까. 이런 것들을 판단하지 않겠습니까? 준비가 돼야 발사하는 것이고. 그런데 우리가 밖에서 보면 한미 정상회담이나 한일 정상회담을 할 때 거기에 맞춰서 도발 위협을 가할 것이라는 그런 예상에 의해서 북한도 정치적 목적으로 발사하지 않겠냐, 이렇게 예상을 했었는데 저는 북한이 발사하는 시점은 북한이 준비가 끝난 시점이다. 이렇게 판단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북한이 이번에 우주발사체를 발사한 속내에 대해서까지 짚어봤고요. 지금 북한의 우주발사체가 북한에서도 비정상적으로 추진력을 상실해서 서해에 추락했다, 이렇게 발표한 상황인데 관련 내용 들어오는 대로 다시 전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들어온 내용과 관련해서 김문경 기자와 함께 얘기 나눠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
뉴스 속 생생한 현장 스케치 [뉴스케치] 보기 〉
'한방'에 핫한 '이슈' 정리 [한방이슈]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