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올해는 반달곰 복원 사업을 시작한 지 20년 되는 해인데요.
사람과 곰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봤습니다.
김민욱 기자입니다.
◀ 리포트 ▶
구례 읍내가 멀지 않은 지리산 자락에 놓인 벌통에 검고 큰 동물이 접근합니다.
반달가슴곰입니다.
꿀을 훔쳐먹으려고 벌통을 부수고 넘어뜨립니다.
하지만 벌들이 달려들자 이겨내지 못하고 도망갑니다.
[반달곰 피해 주민]
"(벌통) 하나는 저기 던져놓고. 여기 또 하나 던져놓고."
2004년 반달곰 복원이 시작된 이래 주민들의 벌통이나 기물이 훼손되는 일은 계속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정부가 보험을 통해 보상한 피해만 작년까지 572건, 10억 2천여만 원입니다.
정부가 피해를 예방하겠다며 취하는 가장 큰 조치는 복원 초기부터 지금까지 '위치추적'입니다.
하지만 자연 상태에서 태어나거나 추적기 배터리가 방전돼 추적 안 되는 곰이 이제 60% 이상입니다.
속리산 인근까지 이동했던 반달곰 KM53이 배터리 교체를 위해 마취총을 맞고 익사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박영철/강원대 산림과학부 교수]
"(개별 개체) 모니터링보다는 밀도 중심의 모니터링으로 전환해서 종합적으로 서식지 관리 쪽으로 가야되지 않느냐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러기 위해선 안정적인 서식지 확대가 제일 중요합니다.
환경부는 생태통로 연결과 훼손지 복원 등 백두대간 생태 축 복원 사업을 지속 추진 중입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탐방로 확대와 케이블카 설치 요구 등도 여전합니다.
반복되는 피해와 정책 논란에도 불구하고 곰은 어느덧 지리산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한형석/전남 구례군 직전마을]
"주민들하고도 대화를 해보면 상당히 호의적이에요. 반달곰이 여기 있다는 것에 대해서 나름 자부심까지는 아니지만 좋아하시는 것 같더라고요."
전문가와 주민들은 앞으로도 곰과 인간이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존할 수 있도록 '곰 스프레이' 소지 규제 완화, 탐방객 안내 강화와 같은 구체적인 조치들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MBC뉴스 김민욱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김민욱 기자(wook@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